5. 부가세 관리

5.1. (세금)계산서

세금계산서를 거래처별 집계, 명세내역을 조회합니다.

(세금)계산서 1

참고

  • 기능설명
    1. 양식구분, 매입/매출, 증빙구분 등의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거래처별집계내역 탭에서 거래처별로 매입 또는 매출 집계 내역을 확인합니다.
    3. <엑셀다운로드> 버튼을 이용하여 조회된 내역을 엑셀로 다운로드 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양식구분 : 세금계산서, 계산서, 기타
    2. 증빙구분 : 세금계산서 입력시 등록한 증빙구분으로 멀티 선택 가능
    3. 발행일자 : 세금계산서 발행일자
  • 자료흐름
    1. 회계관리 > 매입세금계산서 > [매입세금계산서개별생성]메뉴에서 등록한 자료를 조회합니다.
    2. 회계관리 > 매출세금계산서 > [매출세금계산서개별생성]메뉴에서 등록한 자료를 조회합니다.
    3. 영업관리 > 재고관리 > [매입세금계산서일괄생성]메뉴에서 등록한 자료를 조회합니다.
    4. 영업관리 > 재고관리 > [매출세금계산서일괄생성]메뉴에서 등록한 자료를 조회합니다.
(세금)계산서 2

참고

  • 기능설명
    1. 양식구분, 매입/매출, 증빙구분 등의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세금) 계산서집계내역 탭에서 세금계산서 내역 별로 상세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엑셀다운로드> 버튼을 이용하여 조회된 내역을 엑셀로 다운로드 합니다.
    4. 전표번호를 더블 클릭하면 전표 상세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발행일자 : 세금계산서 발행일자
  • 자료흐름
    1. 회계관리 > 매입세금계산서 > [매입세금계산서개별생성]메뉴에서 등록한 자료를 조회합니다.
    2. 회계관리 > 매출세금계산서 > [매출세금계산서개별생성]메뉴에서 등록한 자료를 조회합니다.
    3. 영업관리 > 재고관리 > [매입세금계산서일괄생성]메뉴에서 등록한 자료를 조회합니다.
    4. 영업관리 > 재고관리 > [매출세금계산서일괄생성]메뉴에서 등록한 자료를 조회합니다.

5.2. 매입매출거래명세서

매입매출 거래내역을 조회합니다.

매입매출거래명세서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거래명세서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전표번호를 더블 클릭하면 전표 상세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엑셀다운로드> 버튼을 이용하여 조회된 내역을 엑셀로 다운로드 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발행일자 : 거래명세서 발행일자
    2. 세금계산서번호 : 매입/매출 거래명세서가 작성되고 재고관리 > [매출세금계산서일괄생성], [매입거래명세서일괄생성] 메뉴에서 생성한 세금계산서 번호
    3. 전표번호 : 세금계산서 생성 완료 후 회계관리 > [매출회계전표생성], [매입회계전표생성] 메뉴에서 생성한 전표 번호
  • 자료흐름
    1. 재고관리 > [매입거래명세서발행/관리] 메뉴에 등록된 매입 거래명세서 내역이 조회됩니다.
    2. 재고관리 > [매출거래명세서발행/관리] 메뉴에 등록된 매출 거래명세서 내역이 조회됩니다.

5.3. 매입매출집계표(거래처별)

거래처별로 매입매출 내역을 조회합니다.

매입매출집계표(거래처별)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거래처별 매입매출 집계내역이 조회됩니다.
    2. <엑셀다운로드> 버튼을 이용하여 조회된 내역을 엑셀로 다운로드 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거래일자 : 매입매출 거래가 발생한 일자
  • 자료흐름
    1. 회계관리 > 매입세금계산서 > [매입세금계산서개별생성]메뉴에서 등록한 자료를 조회합니다.
    2. 회계관리 > 매출세금계산서 > [매출세금계산서개별생성]메뉴에서 등록한 자료를 조회합니다.
    3. 영업관리 > 재고관리 > [매입세금계산서일괄생성]메뉴에서 등록한 자료를 조회합니다.
    4. 영업관리 > 재고관리 > [매출세금계산서일괄생성]메뉴에서 등록한 자료를 조회합니다.

5.4. 부가세신고대상설정(세금계산서)

작성된 세금계산서 중 부가세 신고 대상 여부를 설정합니다.

부가세신고대상설정(세금계산서)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세금계산서 내역이 조회됩니다.
    2. 신고에서 제외할 대상을 선택하고 <저장> 하면 신고 제외대상으로 처리됩니다.
    3. 제외된 데이터를 다시 신고대상으로 처리하시려면, 상단 제외여부를 ‘신고제외’ 로 검색한 뒤, 신고제외 체크를 해제합니다.
    4. (세금)계산서합계표에 반영되는 과세기간 종료 다음달 11일까지 전송된 전자(세금)계산서 발급분에 기본 체크되나, 그 외 발급분으로 표기하고자 할 경우 체크 해제합니다.
    5. 제외여부 및 11일까지 전송여부 체크/체크해제가 완료되면 <저장> 버튼으로 저장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발행일자 : 세금계산서 발행일자
    2. 제외여부 : 신고대상, 신고제외, 전체
    3. 증빙구분 : 세금계산서 입력시 선택한 증빙구분으로 멀티 선택이 가능
    4. 전송여부 : 과세기간 종료 다음달 11일까지 전송된 전자(세금)계산서 발급분, 그 외 발급분
  • 자료흐름
    1. 신고제외 처리하면 [부가세신고서작성] 메뉴에서 제외됩니다.
    2. [매입(세금)계산서합계표], [매출(세금)계산서합계표] 메뉴에 반영됩니다.

5.5. 부가세신고서작성

부가세 신고를 위해 부가세신고서 내용을 등록하고 신고서를 인쇄합니다.

부가세신고서작성 1

참고

  • 기능설명
    1. 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등록된 신고서 내용이 조회됩니다.
    2. <신규작성> 버튼을 클릭하여 부가세신고서를 신규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3. <가져오기> 버튼을 클릭하면 등록된 세금계산서 및 카드 등의 금액과 세액을 반영합니다.
    4. 금액을 입력하면 세액은 자동 계산됩니다.
    5. <예정신고누락분> 버튼을 클릭하면 예정신고 때 누락되었던 세금계산서, 정규영수증외 매출분 내역을 정기신고 때 직접 입력합니다.
    6. <전체저장> 버튼으로 입력된 데이터를 모두 저장합니다.
    7. <삭제> 버튼으로 작성한 부가세신고서를 삭제합니다.
    8. <마감> 버튼으로 부가세신고서를 수정할 수 없도록 마감할 수 있으며, 전자신고 파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 주요항목설명
    1. 회계> [매출세금계산서개별생성], 자동증빙> [매출세금계산서], [매출신용카드], [매출현금영수증], 재고관리> [매출세금계산서일괄생성] 메뉴에서 등록된 증빙구분 기준으로 반영
    2. ⑴ 세금계산서 발급분 : 증빙구분 ‘매출세금계산서(일반)’, ‘매출세금계산서(주민등록발행분)’ 으로 입력된 데이터
    3. ⑵ 매입자발행 세금계산서 : 증빙구분 ‘매출세금계산서(매입자역발행)’ 로 입력된 데이터
    4. ⑶ 신용카드, 현금영수증 발급분 : 증빙구분 ‘현금영수증 : 카드매출(일반과세), 현금영수증매출(과세) 로 입력된 데이터
    5. ⑷ 기타(정규영수증외매출분) : 증빙구분 ‘기타(과세)’ 로 입력된 데이터
    6. ⑸ 영세율 세금계산서 발급분 : 증빙구분 ‘매출세금계산서(영세율)’ 로 입력된 데이터
    7. ⑹ 영세율 기타 : 증빙구분 ‘현금영수증매출(영세율)’, ‘카드매출(영세율)’ 로 입력된 데이터
    8. ⑺ <예정신고누락분> 버튼을 눌러 예정신고 때 누락된 세금계산서 및 기타 매출 내역을 입력한 데이터
    9. ⑻ 대손세액가감 : 대손세액을 공제받는 경우 직접 입력
  • 자료흐름
    1. 마감된 부가세신고서는 [부가세전자신고파일] 메뉴에서 전자신고파일을 생성합니다.
부가세신고서작성 2

참고

  • 기능설명
    1. 부가세신고서 매입세액 탭을 클릭합니다.
    2. <예정신고누락분> 버튼을 클릭하여 예정신고 때 누락되었던 세금계산서, 그 밖의 공제매입세액을 직접 입력합니다.
    3. <그밖의 공제 매입세액> 버튼을 클릭하여 그 밖의 공제 매입세액 내역 확인 및 수정, 직접 입력합니다.
    4. <공제받지못할 매입세액> 버튼을 클릭하여 공제받지못할 매입세액 내역 확인 및 수정, 직접 입력합니다.
    5. <전체저장> 버튼으로 입력한 데이터를 모두 저장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회계> [매입세금계산서개별생성], [경비전표등록/조회], 자동증빙> [매입세금계산서], 재고관리> [매입세금계산서일괄생성] 메뉴에서 등록된 증빙구분 기준으로 반영
    2. ⑽ 세금계산서수취분(일반매입) : 증빙구분 ‘매입세금계산서(일반)’, ‘매입세금계산서(주민등록발행분)’, ‘매입세금계산서(영세율)’ 로 입력된 데이터
    3. ⑾ 세금계산서수취분(고정자산) : 증빙구분 ‘매입세금계산서(고정자산)’, ‘매입세금계산서(고정자산-영세율)’ 로 입력된 데이터
    4. ⒁ <그밖의공제매입세액> 버튼을 눌러 입력한 데이터의 합계
    5. 신용카드매출전표등 수령명세서제출분(일반매입) (40) : 증빙구분 ‘카드매입(일반 과세)’, ‘현금영수증매입(과세)’로 입력된 데이터
    6. 신용카드매출전표등 수령명세서제출분(고정자산매입) (41) : 증빙구분 ‘카드매입(고정자산)’ 로 입력된 데이터
    7. <공제받지못할매입세액> 버튼을 눌러 입력한 데이터의 합계 (16)
    8. 공제받지 못할 매입세액 (49) : 증빙구분 ‘매입세금계산서(불공제)’ 로 입력된 데이터
부가세신고서작성 3

참고

  • 기능설명
    1. 부가세신고서 그외 탭을 클릭합니다.
    2. <그밖의 경감 공제세액> 버튼을 클릭하여 그밖의 경감 공제세액을 입력합니다.
    3. 전자신고세액공제(53) : 부가세 확정신고시에만 공제가 가능하며, 부가세 전자신고시 공제액을 직접 입력
    4. <가산세액계> 버튼을 클릭하여 가산세액 내역을 입력합니다.
    5. <전체저장> 버튼으로 입력한 데이터를 모두 저장합니다.
부가세신고서작성 4

참고

  • 기능설명
    1. 부가세신고서 과세표준명세 및 면세사업수입금액 탭을 클릭합니다.
    2. [회사정보] 메뉴에 입력된 업태, 종목이 반영됩니다.
    3. 업종 구분별 과세표준 금액은 과세표준명세 (27)~(29) 란에 자동 반영되며 수정이 가능합니다.
    4. 수입금액 제외(30)는 고정자산매각, 직매장공급 등 소득세 수입금액에서 제외되는 금액을 입력합니다.
    5. 면세사업수입금액이 있는경우 (78), (79) 란에 자동 반영되며 수정이 가능합니다.
    6. 계산서 발급금액(82)은 증빙구분 ‘매출계산서(면세)’로 등록된 데이터가 반영됩니다.
    7. 계산서 수취금액(83)은 증빙구분 ‘매입계산서(면세)’,로 등록된 데이터가 반영됩니다.
    8. <전체저장> 버튼으로 입력한 데이터를 모두 저장합니다.
부가세신고서작성 5

참고

  • 기능설명
    1. 부가세신고서 인쇄 탭을 클릭하여 저장한 신고서 내용을 조회합니다.
    2. SAVE 버튼으로 EXCEL, PDF 등 부가세신고서 파일 변환이 가능합니다.
    3. Print 버튼으로 부가세신고서 인쇄가 가능합니다.
    4. 국고환급금 계좌는 환급금액이 2천 만원 이상일 경우 [사업장정보조회/설정] 메뉴에 등록된 계좌가 조회됩니다.

5.6. 부가세신고서작성현황조회/마감

부가세 신고서식의 작성현황을 조회하고 마감처리를 합니다.

부가세신고서작성현황조회/마감

참고

  • 기능설명
    1. 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부가세 신고서식별 작성현황이 조회됩니다.
    2. 부가세신고시 및 작성하신 부속명세서의 마감여부를 체크하여 <마감수정> 버튼을 클릭하면 마감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저장여부 : [부가세신고서작성] 메뉴에서 저장한 일시
    2. 마감여부 : 신고서식을 마감 처리한 일시
    3. 파일생성일시 : 부가세 전자 파일을 생성한 일시
    4. 일반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서가 마감되어 있으면 다른 신고서식은 마감, 마감취소를 할 수 없습니다.
    5. 신고에 필요한 부속명세서 메뉴에서 직접 데이터를 조회, 저장한 경우에만 마감이 가능합니다.
    6. 부가세 신고서 및 부속명세서가 마감되어 있어야 부가세 전자신고 파일 생성이 가능합니다.
  • 자료흐름
    1. [부가세신고서작성] 메뉴에서 신고에 필요한 신고서식을 등록 및 마감 처리합니다.

5.7. 부가세전자신고파일

부가세 전자신고를 위한 파일을 생성합니다.

부가세전자신고파일

참고

  • 기능설명
    1. 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신고년도에 등록한 신고서내역이 조회됩니다.
    2. 조회된 신고서내역의 행을 클릭하면 파일생성 대상 신고서식의 진행현황이 조회됩니다.
    3. [부가세신고서작성현황조회/마감] 메뉴에서 마감된 신고 서식만 선택 할 수 있으며, 일반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서를 체크한 뒤, 신고할 부속명세서를 선택합니다.
    4. 제출일자를 입력하고 <파일생성> 버튼을 클릭하여 부가세 전자센고 파일을 생성합니다.

5.8. (세금)계산서합계표전산매체파일

(세금)계산서 전산매체 전자 신고를 위한 파일을 생성합니다.

(세금)계산서합계표전산매체파일

참고

  • 기능설명
    1. 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신고년도에 등록한 신고서내역이 조회됩니다.
    2. 조회된 신고서내역의 행을 클릭하면 파일생성 대상 신고서식이 조회됩니다.
    3. 대상 서식을 체크하여 <파일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선택한 신고 서식이 신고파일로 생성됩니다.
    4. 생성한 파일은 암호화해서 홈택스에 신고해야 하며, <암호화 프로그램 상세설명 버튼> 을 클릭하여 파일 암호화 관련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신고차수 : 수정신고의 차수
  • 자료흐름
    1. 회계관리의 매출세금계산서에서 등록한 ‘(세금)계산서’ 파일을 생성합니다.

5.9. 매출세금계산서합계표

부가세 신고기간에 발행한 매출세금계산서를 조회하고 매출세금계산서합계표를 인쇄합니다.

매출세금계산서합계표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SAVE 버튼으로 EXCEL, PDF 등 매출세금계산서합계표 파일 변환이 가능합니다.
    3. Print 버튼으로 매출세금계산서합계표 인쇄가 가능합니다.
    4. 종이계산서나 과세기간 종료일 다음달 12일 이후 전송된 전자세금계산서 발급분의 경우, [부가세신고대상설정] 메뉴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5. 종이계산서나 과세기간 종료일 다음달 12일 이후 전송된 전자세금계산서 발급분의 경우, 3.매출처별 명세에 데이터가 집계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신고기간 : 부가세 신고대상 기간
    2. 작성일자 : 매출세금계산서합계표를 제출하는 일자
    3. 사업자등록번호 발급분 : 증빙구분 ‘매출세금계산서(일반)’ 으로 입력된 데이터가 집계
    4. 주민등록번호 발급분 : 증빙구분 ‘매출세금계산서(주민등록발행분)’으로 입력된 데이터가 집계
  • 자료흐름
    1. 매출세금계산서는 회계관리의 [매출세금계산서개별생성] 메뉴에서 등록합니다.

5.10. 매입세금계산서합계표

부가세 신고기간에 발행한 매입세금계산서를 조회하고 매입세금계산서합계표를 인쇄합니다.

매입세금계산서합계표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SAVE 버튼으로 EXCEL, PDF 등 매입세금계산서합계표 파일 변환이 가능합니다.
    3. Print 버튼으로 매입세금계산서합계표 인쇄가 가능합니다.
    4. 종이계산서나 과세기간 종료일 다음달 12일 이후 전송된 전자세금계산서 발급분의 경우, [부가세신고대상설정] 메뉴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5. 종이계산서나 과세기간 종료일 다음달 12일 이후 전송된 전자세금계산서 발급분의 경우, 3.매입처별 명세에 데이터가 집계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신고기간 : 부가세 신고대상 기간
    2. 작성일자 : 매입세금계산서합계표를 제출하는 일자
    3. 사업자등록번호 발급분 : 증빙구분 ‘매입세금계산서(일반)’ 으로 입력된 데이터가 집계
    4. 주민등록번호 발급분 : 증빙구분 ‘매입세금계산서(주민등록발행분)’으로 입력된 데이터가 집계
  • 자료흐름
    1. 매입세금계산서는 회계관리의 [매입세금계산서개별생성] 메뉴에서 등록합니다.

5.11. 매출계산서합계표

부가세 신고기간에 발행한 매출계산서를 조회하고 매출계산서합계표를 인쇄합니다.

매출계산서합계표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SAVE 버튼으로 EXCEL, PDF 등 매출계산서합계표 파일 변환이 가능합니다.
    3. Print 버튼으로 매출계산서합계표 인쇄가 가능합니다.
    4. 종이계산서나 과세기간 종료일 다음달 12일 이후 전송된 전자계산서 발급분의 경우, [부가세신고대상설정] 메뉴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5. 종이계산서나 과세기간 종료일 다음달 12일 이후 전송된 전자계산서 발급분의 경우, 3.매출처별 명세에 데이터가 집계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신고기간 : 부가세 신고대상 기간
    2. 작성일자 : 매출계산서합계표를 제출하는 일자
    3. 사업자등록번호 발급분 : 증빙구분 ‘매출계산서(면세)’ 으로 입력된 데이터가 집계
  • 자료흐름
    1. 매출계산서는 회계관리의 [매출세금계산서개별생성]메뉴에서 세금계산서종류를 ‘계산서’로 등록합니다.

5.12. 매입계산서합계표

부가세 신고기간에 발행한 매입계산서를 조회하고 매입계산서합계표를 인쇄합니다.

매입계산서합계표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SAVE 버튼으로 EXCEL, PDF 등 매입계산서합계표 파일 변환이 가능합니다.
    3. Print 버튼으로 매입계산서합계표 인쇄가 가능합니다.
    4. 종이계산서나 과세기간 종료일 다음달 12일 이후 전송된 전자계산서 발급분의 경우, [부가세신고대상설정] 메뉴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5. 종이계산서나 과세기간 종료일 다음달 12일 이후 전송된 전자계산서 발급분의 경우, 3.매입처별 명세에 데이터가 집계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신고기간 : 부가세 신고대상 기간
    2. 작성일자 : 매입계산서합계표를 제출하는 일자
    3. 증빙구분 ‘매입계산서(면세)’ 으로 입력된 데이터가 집계
  • 자료흐름
    1. 매입계산서는 회계관리의 [매입세금계산서개별생성] 메뉴에서 세금계산서종류를 ‘계산서’로 등록합니다.

5.13. 신용카드매출전표등수령명세서

부가세 신고기간에 신용카드 등으로 매입한 내역을 조회하고 신용카드매출전표등수령명세서를 인쇄합니다.

신용카드매출전표등수령명세서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SAVE 버튼으로 EXCEL, PDF 등 신용카드매출전표등 수령명세서 파일 변환이 가능합니다.
    3. Print 버튼으로 신용카드매출전표등 수령명세서 인쇄가 가능합니다.
    4. [(법인)카드등록/관리] 메뉴에서 입력하신 카드종류에 따라 (6)~(8) 구분되어 집계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신고기간 : 부가세 신고대상 기간
    2. 작성일자 : 신용카드매출전표등수령명세서를 제출하는 일자
  • 자료흐름
    1. 회계관리의 [매입세금계산서개별생성] 메뉴에서 증빙구분 ‘카드매입(일반과세)’, ‘현금영수증매입(과세)’를 선택하여 등록합니다.
    2. 회계관리의 [경비전표등록/조회] 메뉴에서 증빙구분 ‘카드매입(일반과세)’ ,’현금영수증매입(과세)를 선택하여 등록합니다.
    3. 경비 전표로 입력된 경우, [전표승인] 메뉴에서 <승인> 된 내역만 조회됩니다.

5.14. 신용카드매출전표등발행금액집계표

부가세 신고기간에 신용카드 등 매출한 내역을 조회하고 신용카드매출전표등발행금액집계표를 인쇄합니다.

신용카드매출전표등발행금액집계표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SAVE 버튼으로 EXCEL, PDF 등 신용카드매출전표등 발행금액집계표 파일 변환이 가능합니다.
    3. Print 버튼으로 신용카드매출전표등 발행금액집계표 인쇄가 가능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신고기간 : 부가세 신고대상 기간
    2. 작성일자 : 신용카드매출전표등발행금액집계표를 제출하는 일자
  • 자료흐름
    1. 회계관리의 [매출세금계산서개별생성] 메뉴에서 증빙구분이 ‘카드매출(일반과세)’, ‘현금영수증매출(일반과세)’를 선택하여 등록합니다.

5.15. 건물등감가상각취득명세서

부가세 신고기간에 취득한 고정자산의 자산별 내역을 조회하고 건물등감가상각취득명세서를 인쇄합니다.

건물등감가상각취득명세서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SAVE 버튼으로 EXCEL, PDF 등 건물등감가상각취득명세서 파일 변환이 가능합니다.
    3. Print 버튼으로 건물등감가상각취득명세서 인쇄가 가능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신고기간 : 부가세 신고대상 기간
    2. 작성일자 : 건물등감가상각취득명세서를 제출하는 일자
    3. [고정자산등록] 메뉴에서 입력된 데이터가 자산구분에 따라 조회됩니다.
    4. 고정자산 세금계산서 매입건의 경우 부가세신고서 (11) 세금계산서수취분 (고정자산)에 반영됩니다.
    5. 고정자산 현금 또는 카드매입 건의 경우 부가세신고서 (41) 신용카드매출전표등 수령명세서제출분의 고정자산매입에 반영됩니다.
  • 자료흐름
    1. 고정자산의 [고정자산등록/관리] 메뉴에서 등록합니다.

5.16. 공제받지못할매입세액명세서

부가세 신고를 위한 공제받지 못할 매입세액 내역을 등록하고 신고양식을 인쇄합니다.

공제받지못할매입세액명세서 1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등록할 사업장과 신고기간을 입력하고 <신규작성> 버튼을 클릭하여 공제받지못할 매입세액 명세서를 작성합니다.
    3. <가져오기> 버튼으로 세금계산서 증빙구분 ‘매입세금계산서(불공제)’로 입력된 데이터가 불공제 사유별로 반영됩니다.
    4. <저장> 버튼으로 반영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5. <삭제> 버튼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합니다.
    6. <마감> 버튼으로 작성한 공제받지못할매입세액명세서를 마감합니다.
    7. <인쇄> 버튼으로 공제받지못할 매입세액명세서를 인쇄할 수 있습니다.
  • 자료흐름
    1. 마감된 데이터를 수정하고자 할 경우, <마감취소> 버튼을 클릭하면 마감이 취소되며 데이터를 수정합니다.
    2. 부가세관리 > [부가세작성현황조회/마감] 메뉴에서 저장일시, 마감일시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3. 일반과세자 부가세신고서가 마감되면 신규입력, 삭제, 마감, 마감취소를 할 수 없습니다.
    4. 부가세신고서 (49)~(50) 공제받지 못할 매입세액 명세에 데이터가 입력합니다.
공제받지못할매입세액명세서 2

참고

  • 기능설명
    1. <행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공통매입세액 안분 계산 내역을 입력합니다.
    2. 삭제할 행을 선택하고 <행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3. 행추가 및 행삭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과세, 면세사업등 공통매입 : 공통매입세액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공급가액 및 세액의 합계액을 입력합니다.
    2. 총공급가액 등 : 세액ⓐ의 공통매입세액과 관련된 총공급가액, 총매입가액, 총예정공급가액 또는 총예정사용면적을 입력합니다.
    3. 과세, 면세 사업등 공통매입 내역, 총공급가액 등, 면세공급가액 등을 입력하면 불공제 매입세액은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공제받지못할매입세액명세서 3

참고

  • 기능설명
    1. 공제받지못한매입세액명세서의 정산명세 탭에서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행추가> 버튼을 클릭하고 내용을 입력하고 저장합니다.
    3. 삭제할 행을 선택하고 <행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4. 행추가 및 행삭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5.17. 의제매입세액공제신고서

부가세 신고를 위한 의제매입세액 공제 내역을 등록하고 신고양식을 인쇄합니다.

의제매입세액공제신고서 1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신고대상의 신고기간을 입력하고 <신규작성> 버튼을 클릭하여 의제매입세액내역을 입력합니다.

    3. <행추가> 버튼으로 농어민 등으로부터의 매입분에 대한 명세를 작성합니다.

      • 매입세액 입력시 선택된 공제율에 따라 의제매입세액이 자동계산됩니다.
      • 주민등록번호는 하이픈(‘-‘)을 사용하여 등록하며, 저장시 주민번호 뒷자리는 마스킹 처리되어 저장됩니다.
      • 주민등록번호 확인에 체크하여 조회시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패스워드 입력 후 조회가 가능합니다.
    4. <행삭제> 버튼으로 작성된 농어민 등으로부터의 매입분을 삭제합니다.

    5. <전체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6. <삭제> 버튼으로 등록하신 의제매입세액 내역을 삭제합니다.

    7. <마감> 버튼으로 등록하신 의제매입세액 내역을 마감하며, 마감된 내역은 수정되지 않습니다.

    8. <인쇄> 버튼으로 의제매입세액 명세서를 인쇄합니다.

의제매입세액공제신고서 2

참고

  • 기능설명
    1. 업종선택에 따라 관련 내용이 조회됩니다.
    2. 해당하는 데이터를 입력 후 <전체저장> 버튼으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면세농산물등 의제매입세액 관련 신고내용’ 은 확정신고인 경우에만 입력합니다.
    2. ‘매입시기 집중 제조업 면세농산물등 의제매입세액 관련 신고내용’ 은 2기 확정신고 시에만 입력합니다.
    3. 음영된 항목은 자동 계산됩니다.

5.18. 대손세액공제(변제)신고서

부가세 신고를 위한 대손, 변제내역을 등록하고 신고양식을 인쇄합니다.

대손세액공제(변제)신고서 1
대손세액공제(변제)신고서 2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대손세액 및 변제세액 내역이 조회됩니다.
    2. <신규작성> 버튼을 클릭하여 대손세액 및 변제세액 내역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3. <행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대손세액 계산신고 및 변제세액 계산신고 내역을 입력합니다.
    4. <행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입력된 대손세액 및 변제세액 내역을 삭제합니다.
    5.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입력된 내역을 저장합니다.
    6. <마감> 버튼으로 대손세액 및 변제세액 데이터를 마감합니다.
    7. <인쇄> 버튼으로 대손세액공제(변제)신고서를 인쇄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대손세액은 대손금액에 공제율을 곱하여 계산합니다.
    2. 변제세액은 변제금액에 공제율을 곱하여 계산합니다.
    3. 사업자등록번호는 ‘-’를 포함하여 입력합니다.
    4. 대손발생은 공급자가 대손이 확정되는 대손세액을 매출세액에서 차감할 경우 작성합니다.
    5. 대손변제는 공급받은 자가 대손 세액을 변제하여 매입세액에 가산할 경우 작성합니다.
  • 자료흐름
    1. 부가세관리의 [부가세신고서작성현황조회/마감] 메뉴에서 저장일시, 마감일시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 일반과세자 부가세 신고서가 마감되면 신규입력, 삭제, 마감, 마감취소를 할 수 없습니다.
    3. 공급자인 경우, 부가세신고서 (8) 대손세액가감에 데이터를 입력합니다.
    4. 공급받는자의 경우 대손확정시, (46) 변제대손세액에 데이터를 입력합니다.

5.19. 부동산임대공급가액명세서

부가세 신고를 위한 부동산 임대공급가액 명세서를 등록하고 신고 양식을 인쇄합니다.

부동산임대공급가액명세서 1

참고

  • 기능설명

    1. 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여 임대 내역이 조회됩니다.
    2. 임대부동산등록관리 탭에서 입력한 부동산이 조회됩니다.
    3. <신규작성> 버튼을 클릭하여 신고서를 새로 작성합니다.
    4.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입력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5. <신규> 버튼으로 추가적인 임대 내역을 등록합니다.
    6. <삭제> 버튼으로 입력된 임대 내역을 삭제합니다.
    7. <마감> 버튼으로 입력하신 부동산 임대공급가액명세 내역을 마감합니다.
    8. <인쇄> 버튼으로 부동산임대공급가액명세서를 인쇄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임대대상 입력예시를 보고 입력합니다.
    ※ 입력예시
    • (층) 지하1층을 임대하는 경우 ☞ B1
    • (층) 지상1층,지상2층,지상3층을 임대하는 경우 ☞ 1-3
    • (호) 201호,202호,203호,205호를 임대하는 경우 ☞ 201-203,205
  • 자료흐름

    1. 부가세관리의 [부가세신고서작성현황조회/마감]메뉴에서 저장일시, 마감일시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 일반과세자 부가세 신고서가 마감되면 신규입력, 삭제, 마감, 마감취소를 할 수 없습니다.
    3. 부가세신고서 (4) 기타(정규영수증외매출분)에 데이터를 입력합니다.
부동산임대공급가액명세서 2

참고

  • 기능설명
    1. 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임대부동산 내역을 조회됩니다.
    2. <신규> 버튼을 클릭하여 임대 부동산을 등록합니다.
    3. <저장> 버튼으로 입력하신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4. <삭제> 버튼으로 입력한 데이터를 삭제합니다.

5.20. 현금매출명세서

부가세 신고를 위한 현금매출내역을 등록하고 신고양식을 인쇄합니다.

현금매출명세서 1
현금매출명세서 2

참고

  • 기능설명
    1. 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저장한 현금매출명세내역이 조회됩니다.
    2. <신규작성> 버튼 클릭하여 현금매출명세서를 신규로 작성합니다.
    3. <행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현금매출명세 내역을 입력합니다.
    4. <행삭제> 버튼으로 입력된 현금매출명세를 삭제합니다.
    5. 입력하신 내역을 <저장> 버튼을 눌러 저장합니다.
    6. <인쇄> 버튼을 클릭하여 현금매출명세서를 인쇄합니다.
    7. <마감> 버튼으로 현금매출명세서를 마감하며, 마감이 완료되면 수정되지 않습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성명(상호) : 매출 상대방이 개인이면 성명을, 사업자인 경우 상호를 입력합니다.
    2. 주민등록번호(사업자등록번호) : 매출 상대방이 개인이면 주민등록번호를 사업자면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합니다.
    3. 주민등록번호 입력시 뒷번호가 마스킹처리되어 저장되며, 주민등록번호에 체크하여 조회시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암호 입력 후 조회됩니다.
  • 자료흐름
    1. 부가세관리의 [부가세신고서작성현황조회/마감] 메뉴에서 저장일시, 마감일시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 일반과세자 부가세 신고서가 마감되면 신규입력, 삭제, 마감, 마감취소를 할 수 없습니다.

5.21. 영세율매출명세서

부가세 신고를 위한 영세율 매출내역을 등록하고 신고양식을 인쇄합니다.

영세율매출명세서 1
영세율매출명세서 2

참고

  • 기능설명
    1. 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영세율매출명세서가 조회됩니다.
    2. <신규작성> 버튼을 클릭하고 영세율 적용 공급실적 합계를 입력합니다.
    3.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면 <저장> 버튼으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4. <삭제> 버튼으로 입력된 데이터를 삭제합니다.
    5. <마감> 버튼으로 영세율매출명세서를 마감할 수 있습니다.
    6. <인쇄> 버튼으로 영세율매출명세서를 인쇄합니다.
  • 자료흐름
    1. 부가세관리의 [부가세신고서작성현황조회/마감] 메뉴에서 저장일시, 마감일시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 일반과세자 부가세 신고서가 마감되면 신규입력, 삭제, 마감, 마감취소를 할 수 없습니다.

5.22. 사업장별 부가가치세 과세표준 및 납부세액 신고명세서

부가세 신고를 위한 사업장별 부가가치세 신고 내역을 등록하고 신고양식을 인쇄합니다.

사업장별 부가가치세 과세표준 및 납부세액 신고명세서 1
사업장별 부가가치세 과세표준 및 납부세액 신고명세서 2

참고

  • 기능설명
    1. 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내역이 조회됩니다.
    2. 신고기간에 대해 최초작성 하기 위해 <신규작성>버튼을 클릭합니다.
    3. <신규> 버튼으로 사업장별 부가가치세 과세표준 및 납부세액 명세서를 작성합니다.
    4. <삭제> 버튼으로 입력된 데이터를 삭제합니다.
    5. <저장> 버튼으로 입력 및 수정된 내역을 저장합니다.
    6. <마감> 버튼으로 사업장별 부가가치세 과세표준 및 납부세액 명세서를 마감합니다.
    7. <인쇄> 버튼을 클릭하면 사업장별 부가가치세 과세표준 및 납부세액 명세서를 인쇄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납부(환급)세액 : 매출세액 – 매입세액 + 가산세 – 공제세액으로 계산
  • 자료흐름
    1. 부가세관리의 [부가세신고서작성현황조회/마감] 메뉴에서 저장일시, 마감일시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 일반과세자 부가세 신고서가 마감되면 신규입력, 삭제, 마감, 마감취소를 할 수 없습니다.

5.23. 사업자 단위과세의 사업장별 부가가치세 과세표준 및 납부세액 신고명세서

부가세 신고를 위한 사업자 단위과세의 사업장별 부가가치세 신고 내역을 등록하고 신고양식을 인쇄합니다.

사업자 단위과세의 사업장별 부가가치세 과세표준 및 납부세액 신고명세서 1
사업자 단위과세의 사업장별 부가가치세 과세표준 및 납부세액 신고명세서 2

참고

  • 기능설명
    1. 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내역이 조회됩니다.
    2. 신고기간에 대해 최초작성 하기 위해 <신규작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신규> 버튼으로 사업자단위과세의 사업장별 부가가치세 과세표준 및 납부세액 명세서를 작성합니다.
    4. <삭제> 버튼으로 입력된 데이터를 삭제합니다.
    5. <저장> 버튼으로 입력 및 수정된 내역을 저장합니다.
    6. <마감> 버튼으로 사업자단위과세의 사업장별 부가가치세 과세표준 및 납부세액 명세서를 마감합니다.
    7. <인쇄> 버튼을 클릭하면 사업자단위과세의 사업장별 부가가치세 과세표준 및 납부세액 명세서를 인쇄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납부(환급)세액 : 매출세액 – 매입세액 + 가산세 – 공제세액으로 계산
  • 자료흐름
    1. 부가세관리의 [부가세신고서작성현황조회/마감] 메뉴에서 저장일시, 마감일시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 일반과세자 부가세 신고서가 마감되면 신규입력, 삭제, 마감, 마감취소를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