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회계관리

1.1. 매입세금계산서개별생성

매입처로부터 수령한 세금계산서 내역을 등록합니다.

매입세금계산서개별생성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발행유형이 ‘일괄발행’인 건은 재고관리 > [매입세금계산서일괄생성]에서 생성된 건입니다.
    2. 매입세금계산서를 등록하기 위하여 <신규> 버튼을 클릭하면 매입세금계산서 등록 팝업 창이 표기됩니다.
    3. 상단에 매입 세금계산서 내역을 등록하고 하단의 <행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매입 세금계산서 품목 상세 내역을 등록합니다.
    4. <행삭제> 버튼을 클릭하고 <저장> 하면 품목 내역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5. 매입세금계산서 입력을 완료하면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자료를 저장합니다. 전표생성여부 옵션에 체크된 상태로 저장시 매입 세금계산서 생성과 함께 회계전표도 자동 생성됩니다.
    6. <수정> 버튼을 클릭하여 매입 세금계산서 내역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단, 선택된 매입세금계산서의 전표가 생성되어 있는 경우, 전표 삭제 후 수정이 가능합니다.
  • 매입세금계산서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세금계산서를 받은 사업장
    2. 대금결제방법 : 매입 대금을 지급하는 방법 (현금, 보통예금, 미지급금(카드), 미지급금, 외상매입금)
    3. 만약, 매입 대금을 체크카드로 결제할 경우 미지급금(카드) 선택하여 처리합니다.
    4. 증빙구분 : 부가세 신고 기준으로 분류한 증빙 코드 (현금영수증, 카드, 세금계산서, 계산서 등)
    5. 관련번호 : 대금 결제 방법에 따라 현금인 경우 현금영수증번호, 보통예금인 경우 계좌번호, 카드인 경우 카드번호
    6. 매입처사업자번호 : 거래처 상품에서 등록한 매입처의 사업자등록번호 (매입처코드, 매입처명으로 검색 가능)
    7. 영수청구구분 : 대금을 받은 경우 영수, 대금을 받지 않은 경우 청구
    8. 상호(법인명), 성명 : 거래처 등록시 자동 표기
    9. 공급가액 : 매입세금계산서 상세내역에 등록된 공급가액의 합계(하단 상세내역 등록시 자동표기)
    10. 세액 : 매입세금계산서 상세내역에 등록된 세액의 합계(하단 상세내역 등록시 자동표기)
    11. 합계 : 공급가액 합계 + 세액 합계(매입세금계산서 상세내역 등록시 자동표기)
    12. 불공제사유 : 증빙구분이 ‘불공제’ 인 경우 불공제 사유를 선택
  • 매입세금계산서 상세내역 주요항목 설명

    1. 품목구분 : 회계전표 분개시 선택한 항목으로 분개. ‘기타’인 경우 계정 컬럼을 더블 클릭하여 직접 계정코드 선택 가능

      • 제품 : 일반적으로 회사에서 원부재료를 이용하여 생산한 재화
      • 상품 :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구입하여 매매를 목적으로 한 재화
      • 원자재, 부자재 : 회사에서 제품 생산시 투입되는 자재
      • 기타 : 그 외 매입 거래인 경우 ‘계정’ 컬럼에 계정을 직접 등록하여 자동전표 생성시 해당 계정으로 전표를 생성
    2. 공급가액 : 수량 x 단가

    3. 세액 : 공급가액의 10% (증빙구분이 영세, 면세로 선택된 경우 세액은 ‘0’입니다.)

    4. 계정 : 품목구분이 ‘기타’인 경우 계정과목을 직접 선택하여 등록

    5. 전표생성여부 : 세금계산서 저장시 회계 전표를 자동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체크

    6. 전표기준일자 : 전표 생성일자 (작성일자, 지정일자)

  • 매입세금계산서 목록 주요항목 설명

    1. 전표번호 : 세금계산서 기준으로 전표가 생성된 경우 전표번호 표기
    2. 승인상태 : 생성된 전표의 승인 상태를 표기 (승인, 미승인)
    3. 매입세금계산서 목록을 엑셀로 변환 :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블록 지정 후 Ctrl+C로 복사, 엑셀파일에서 Ctrl+V로 붙여넣기
    4. 매입세금계산서 내역 삭제는 [매입세금계산서취소] 메뉴에서 처리
  • 자료흐름

    1. 매입세금계산서개별생성 -> 매입회계전표생성 -> 전표승인 -> 일(월)계표발행 -> 합계잔액시산표
    2. 세금계산서 신규 팝업 창에서 전표생성여부 옵션에 체크시 [매입회계전표생성] 메뉴 생략 가능
    3. 상세 분개내역, 비고 등을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일반전표조회/취소] 메뉴에서 업무구분 ‘매입전표’로 조회하여 수정 가능

1.2. 매입세금계산서취소

기 입력된 매입세금계산서를 취소(삭제)합니다.

매입세금계산서취소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취소하려는 매입세금계산서를 선택하고 <취소> 버튼을 클릭하여 계산서를 취소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회계전표까지 생성된 매입세금계산서는 전표를 삭제한 뒤 취소가 가능합니다.

    2. 회계전표가 생성된 경우 회계 > 전표관리 > [전표승인] 메뉴에서 <승인취소> 하신 뒤, <전표삭제> 가 완료되면, 매입세금계산서 취소가 가능합니다.

    3. 매입세금계산서를 취소하면 매입세금계산서는 삭제됩니다.

    4. 발행유형

      • 개별발행 : 회계관리 > [매입세금계산서개별생성] 메뉴에서 작성한 내역이 조회됩니다.
      • 일괄발행 : 재고관리 > [매입세금계산서일괄생성] 메뉴에서 <매입세금계산서 일괄생성> 한 데이터가 조회됩니다.
      • 자동증빙 : 자동증빙 > [매입세금계산서] 메뉴에서 <세금계산서작성> 한 데이터가 조회됩니다.
    5. 전표번호가 조회되는 경우 해당 매입세금계산서는 전표까지 생성된 데이터로 취소하시려면 전표를 삭제한 뒤 처리가 가능합니다.


1.3. 매입회계전표생성

기 등록된 매입세금계산서 내역으로 회계 전표를 생성합니다.

매입회계전표생성

참고

  • 기능설명
    1. [매입세금계산서개별생성] 메뉴에서 등록한 매입세금계산서 내역을 조회하여 회계 전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2. 회계 전표 생성할 계산서를 체크하고 전표 작성일자를 등록 후 <전표분개> 버튼을 클릭하면 매입 전표 1건으로 생성됩니다.
    3. 전표생성여부를 ‘미생성’ 으로 선택하여 조회된 데이터에 대해 <전표분개> 가 가능하며, ‘생성’으로 검색하면 이미 회계 전표가 생성된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세금계산서번호 : 세금계산서 생성시 자동 부여된 고유 번호
    2. 결제방법 : 매입세금계산서 입력시 등록한 매입 대금을 지급하는 방법 (현금, 보통예금, 미지급금(카드), 미지급금, 외상매입금)
    3. 증빙구분 : 매입세금계산서 입력시 등록한 부가세 신고 기준으로 분류한 코드 (현금영수증, 카드, 세금계산서, 계산서 등)
    4. 전표번호 : 생성된 전표 번호
  • 자료흐름
    1. 매입세금계산서개별생성 -> 매입회계전표생성 -> 전표승인 -> 일(월)계표발행 -> 합계잔액시산표
    2. 상세 분개 내역, 비고 등을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일반전표조회/취소] 메뉴에서 업무구분 ‘매입전표’로 조회하여 수정 가능

1.4. 매출세금계산서개별생성

매출처 발행할 세금계산서를 등록합니다.

매출세금계산서개별생성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발행유형이 ‘일괄발행’인 건은 재고관리 > [매출세금계산서일괄생성]에서 생성된 건입니다.
    2. 매출세금계산서를 등록하기 위하여 <신규> 버튼을 클릭하면 매출세금계산서 등록 팝업 창이 표기됩니다.
    3. 상단에 매출 세금계산서 내역을 등록하고 하단의 <행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매출 세금계산서 품목 상세 내역을 등록합니다.
    4. <행삭제> 버튼을 클릭하고 <저장> 하면 품목 내역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5. 매출세금계산서 입력을 완료하면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자료를 저장합니다. 전표생성여부 옵션에 체크된 상태로 저장시 매출 세금계산서 생성과 함께 회계전표도 자동 생성됩니다.
    6. <수정> 버튼을 클릭하여 매출 세금계산서 내역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단, 선택된 매출세금계산서의 전표가 생성되어 있는 경우, 전표 삭제 후 수정이 가능합니다.
    7. 수정세금계산서를 발행해야하는 경우, 기 작성된 매출세금계산서 내역을 체크하여 <수정(세금)계산서신규> 버튼을 눌러 수정 코드(사유) 및 수정 내역을 작성한 뒤, <저장> 합니다.
  • 매출세금계산서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세금계산서 발생 사업장
    2. 대금결제방법 : 매출 대금을 수금하는 방법 (현금, 보통예금, 미수금(카드), 외상매출금)
    3. 증빙구분 : 부가세신고 기준으로 분류한 코드 (현금영수증, 카드, 세금계산서, 계산서 등)
    4. 관련번호 : 대금 결제 방법에 따라 현금인 경우 현금영수증번호, 보통예금인 경우 계좌번호, 카드인 경우 카드번호
    5. 매출처사업자번호 : 거래처 상품에서 등록한 매출처 사업자등록번호 (매출처코드, 매출처명으로 검색 가능)
    6. 영수청구구분 : 대금을 받은 경우 영수, 대금을 받지 않은 경우 청구
    7. 상호(법인명),성명 : 거래처 등록시 자동표기
    8. 공급가액 : 매출세금계산서 상세내역에 등록된 공급가액의 합계(하단 상세내역 등록시 자동표기)
    9. 세액 : 매출세금계산서 상세내역에 등록된 세액의 합계(하단 상세내역 등록시 자동표기)
    10. 합계 : 공급가액 합계 + 세액 합계(매출세금계산서 상세내역 등록시 자동표기)
  • 매출세금계산서 상세내역 주요항목 설명

    1. 품목구분 : 회계전표 분개시 선택한 항목으로 분개. ‘기타’인 경우 계정 컬럼을 더블 클릭하여 직접 계정코드 선택 가능

      • 제품 : 일반적으로 회사에서 원부재료를 이용하여 생산한 재화
      • 상품 :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구입하여 매매를 목적으로 한 재화
      • 원자재, 부자재 : 회사에서 제품 생산시 투입되는 자재
      • 기타 : 그 외 매출 거래인 경우 ‘계정’ 컬럼에 계정을 직접 등록하여 자동전표 생성시 해당 계정으로 전표를 생성
    2. 공급가액 : 수량 x 단가

    3. 세액 : 공급가액의 10% (증빙구분이 영세, 면세로 선택된 경우 세액은 ‘0’입니다.)

    4. 계정 : 품목구분이 ‘기타’인 경우 계정과목을 직접 선택하여 등록

    5. 전표생성여부 : 세금계산서 저장시 회계 전표를 자동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체크

    6. 전표기준일자 : 전표 생성일자 (작성일자, 지정일자)

  • 매출세금계산서 목록 주요항목 설명

    1. 전표번호 : 세금계산서 기준으로 전표가 생성된 경우 전표번호 표기
    2. 승인상태 : 생성된 전표의 승인상태를 표기 (승인, 미승인)
    3. 매출세금계산서 목록을 엑셀로 변환 :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블록 지정 후 Ctrl+C로 복사, 엑셀파일에서 Ctrl+V로 붙여넣기
    4. 매출세금계산서 내역 삭제는 [매출세금계산서취소] 메뉴에서 처리
  • 자료흐름

    1. 매출세금계산서개별생성 -> 매출전자세금계산서전송 -> 매출회계전표생성 -> 전표승인 -> 일(월)계표발행 -> 합계잔액시산표
    2. 세금계산서 신규 팝업 창에서 전표생성여부 옵션에 체크시 [매출회계전표생성] 메뉴 생략 가능
    3. 상세 분개내역, 비고 등을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일반전표조회/취소] 메뉴에서 업무구분 ‘매출전표’로 조회하여 수정 가능
    4. 전자세금계산서 유료 상품을 구매한 경우 작성한 매출세금계산서 내역을 [매출전자세금계산서전송] 메뉴에서 국세청 및 거래처에 <전송> 할 수 있습니다.

1.5. 매출세금계산서취소

기 입력된 매출세금계산서를 취소(삭제)합니다.

매출세금계산서취소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취소하려는 매출세금계산서를 선택하고 <취소> 버튼을 클릭하여 계산서를 취소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회계전표까지 생성된 매출세금계산서는 전표를 삭제 한 뒤, 취소가 가능합니다.

    2. 회계전표가 생성된 경우 회계 > 전표관리 > [전표승인] 메뉴에서 <승인취소> 하신 뒤, <전표삭제> 가 완료되면, 매출세금계산서 취소가 가능합니다.

    3. 매출세금계산서를 취소하면 매출세금계산서는 삭제됩니다.

    4. 발행유형

      • 개별발행 : 회계관리 > [매출세금계산서개별생성] 메뉴에서 작성한 데이터가 조회됩니다.
      • 일괄발행 : 재고관리 > [매출세금계산서일괄생성] 메뉴에서 <매출세금계산서 일괄생성> 한 데이터가 조회됩니다.
      • 자동증빙 : 자동증빙 > [매출세금계산서] 메뉴에서 <세금계산서작성> 한 데이터가 조회됩니다.
    5. 전표번호가 조회되는 경우 해당 매출세금계산서는 전표까지 생성된 데이터로 취소하시려면 전표를 삭제한 뒤 처리가 가능합니다.


1.6. 매출전자세금계산서전송

등록한 매출세금계산서를 국세청 및 거래처에 전송합니다.

매출전자세금계산서전송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전송하려는 매출세금계산서를 선택하고 <전송>버튼을 클릭하면 국세청 및 거래처에 매출세금계산서가 전송 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전자세금계산서는 주사업장만 전송이 가능합니다.
    2. 전자세금계산서 유료 상품을 구매 후 발행 가능합니다.
    3. 전송상태 : 국세청으로 전송한 상태값 (미전송, 전송중, 전송완료, 국세청전송완료, 에러)
    4. 세금계산서 분류가 위수탁/수입/영세율수탁 이거나 발행구분이 역발행으로 입력된 세금계산서 및 계산서는 국세청전송이 불가능하며 조회되지 않습니다.
    5. 매출세금계산서 목록에서 스크롤을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조회되는 사업장_사업자등록번호부터 거래처_담당자 이메일까지 정보가 모두 있어야 정상적으로 전자세금계산서 전송이 가능합니다.
    6. 거래처 상품 메뉴에서 해당 거래처의 정보를 빠짐없이 등록합니다.
    7. 세금계산서 발행자 정보인 사업장_전화번호 등은 회계관리 > 회계기초정보설정/조회 > [사업장정보조회/설정] 메뉴에서 기재합니다.
    8. 홈텍스에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위하여 인터넷 브라우져는 익스플로러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1.7. 매출세금계산서인쇄

등록된 매출세금계산서를 세금계산서 양식으로 인쇄합니다.

매출세금계산서인쇄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조회된 거래처별로 일자별 세금계산서가 조회되며 <Print> 버튼을 클릭하면 세금계산서가 인쇄됩니다.
    3. 조회된 세금계산서를 파일로 저장하려면 <Save> 버튼을 클릭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세금계산서발생 사업장
    2. 거래처 : 매출처코드, 매출처명
    3. 발행년월 : 세금계산서 발행년월

1.8. 매출회계전표생성

기 등록된 매출세금계산서 내역으로 매출 회계전표를 자동 생성합니다.

매출회계전표생성

참고

  • 기능설명
    1. [매출세금계산서개별생성] 메뉴에서 등록한 매출세금계산서 내역을 조회하여 회계 전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2. 회계 전표 생성할 계산서를 체크하고 전표 작성일자를 등록 후 <전표분개> 버튼을 클릭하면 매출 전표 1건으로 생성됩니다.
    3. 전표생성여부를 ‘미생성’ 으로 선택하여 조회된 데이터에 대해 <전표분개> 가 가능하며, ‘생성’으로 검색하면 이미 회계 전표가 생성된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세금계산서발생 사업장
    2. 발행유형 : 세금계산서 발행유형 (일괄발행, 개별발행, 자동증빙)
    3. 세금계산서번호 : 세금계산서에 부여된 번호
    4. 결제방법 : 매출세금계산서 입력시 등록한 매출대금을 수금하는 방법 (현금, 보통예금, 미수금(카드), 외상매출금)
    5. 증빙구분 : 매출세금계산서 입력시 등록한 부가세 신고 기준으로 분류한 코드 (현금영수증, 카드, 세금계산서, 계산서 등)
    6. 공급가액 : 등록된 공급가액의 합계
    7. 세액 : 등록된 세액의 합계
    8. 전표번호 : 생성된 전표번호
  • 자료흐름
    1. 매출세금계산서개별생성 -> 매출회계전표생성 -> 전표승인 -> 일(월)계표발행 -> 합계잔액시산표
    2. 상세 분개 내역, 비고 등을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일반전표조회/취소] 메뉴에서 업무구분 ‘매출전표’로 조회하여 수정 가능

1.9. 일반전표등록/조회

회계 관리자가 일반적인 전표를 등록하고 승인합니다.

일반전표등록/조회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하려는 사업장, 작성일자를 입력하고 전표번호를 선택한 후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회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신규전표>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전표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3. 입력한 전표 라인을 저장하려면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4. 해당 전표번호에서 라인을 추가하여 차/대변을 등록하려면 <추가입력>버튼을 클릭합니다.
    5. 복사할 전표 라인 계정에 커서를 놓고 하단의 <복사>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전표 라인이 복사 됩니다.
    6. 수정된 전표를 저장하려면 <수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7. 전표내역을 삭제하려면 삭제하고자 하는 행을 체크하신 뒤 <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8. 입력이 완료된 전표는 차/대변 금액이 일치하는지 확인하신 뒤 <승인요청> 버튼을 클릭하여 ‘미승인’ 전표로 생성합니다.
    9. ‘미승인’ 상태의 전표는 <전표승인처리> 버튼을 클릭하여 전표를 승인할 수 있으며, 전표가 승인되면 재무제표 및 관련 장부에 반영됩니다.
  • 일반전표 버튼 설명

    1. <전표조회> 버튼을 클릭하여 조회되는 전표 조회 팝업창에서 전표를 상세검색할 수 있습니다.
    2. 전표 조회 팝업창에서 전표상태가 ‘미승인’, ;작성중’ 인 전표 중 삭제할 전표를 선택하고 <일괄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전표를 일괄적으로 삭제할 수 있습니다.
    3. <엑셀업로드양식> 버튼을 클릭하여 일반전표 엑셀 업로드 양식을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4. 엑셀 업로드 양식에 데이터 작성 후 <엑셀업로드> 버튼으로 파일을 불러와 저장하면 일괄로 일반전표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5. 입력된 전표를 인쇄하려면 <인쇄> 버튼을 클릭합니다.
    6. 기 작성된 전표를 먼저 조회하신 뒤, 상단 ‘신규전표일자’를 입력하고 <전표복사> 버튼을 클릭하여 동일한 전표를 복사할 수 있습니다.
  • 일반전표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코드 : 일반전표를 등록, 조회할 사업장

    2. 업무구분

      • 일반전표 : 신규 전표를 등록, 수정, 저장합니다.
      • 매입전표 : 신규전표 입력은 불가능하며, 매입세금계산서로 생성된 매입 전표를 불러온 뒤 수정합니다.
      • 매출전표 : 신규전표 입력은 불가능하며, 매출세금계산서로 생성된 매출 전표를 불러온 뒤 수정합니다.
    3. 작성일자 : 일반전표를 작성, 조회할 일자

    4. 전표번호 : 신규전표 또는 생성된 전표번호

    5. 전표구분

      • 입금 : 차변에 자동으로 ‘현금’ 계정이 반영되며, 대변 계정만 사용자가 입력하여 전표를 분개합니다.
      • 출금 : 대변에 자동으로 ‘현금’ 계정이 반영되며, 차변 계정만 사용자가 입력하여 전표를 분개합니다.
      • 대체 : 차변/대변 계정을 모두 사용자가 직접입력하여 전표를 분개합니다.
    6. 작성부서 : 전표를 작성하는 부서

    7. 작성자 : 전표를 작성하는 사원명

    8. 승인상태 : 전표의 승인상태 (작성중, 미승인, 승인)

  • 일반전표 상세내역 주요항목 설명

    1. 차대구분 : 전표 입력시 등록하고자 하는 계정의 차변, 대변 구분
    2. 계정과목 : 전표를 발생시킬 계정과목 ([회계계정과목설정]메뉴에서 수익/비용/제조/용역 계정의 세목추가가 가능합니다.)
    3. 금액 : 전표 금액 (전표구분이 입금이면 차변의 ‘현금’ 계정은 자동 입력, 전표구분이 출금이면 대변 ‘현금’ 계정은 자동 입력)
    4. 적요 : 입력한 계정 과목에 대한 설명 (적요 검색 아이콘을 클릭하여 자주 사용하는 적요를 등록)
    5. 거래처 : 거래 발생 거래처 (거래처 팝업 창에서 선택)
    6. 계좌번호 : 계정과목이 예금 관련 계정이면 [(법인)계좌등록/관리] 메뉴에서 입력한 계좌번호를 콤보에서 선택
    7. 프로젝트 : 프로젝트를 등록하여 관리하고자 한다면, [회계공통코드조회] 메뉴에서 ‘프로젝트’ 항목에 등록된 프로젝트를 선택
    8. 귀속부서 : 입력된 계정의 금액이 귀속되는 부서 (부서코드 팝업 창에서 선택)
    9. 사원번호 : 입력된 계정금액을 사용하는 사원번호 (사원번호 팝업 창에서 선택)
    10. 관리항목-어음번호(지급어음) : 계정과목이 지급어음인 경우 관리항목에 어음번호가 활성화되며 입력가능
    11. 관리항목-어음번호(받을어음) : 계정과목이 받을어음인 경우 관리항목에 어음번호가 활성화되며 입력가능
  • 자료흐름

    1. 일반전표등록/조회 -> 전표승인 -> 일(월)계표발행 -> 합계잔액시산표 -> 재무제표

1.10. 경비전표등록/조회

회사 내 발생하는 비용 지출 내역을 지출결의서 형태로 작성하여 전자결재로 처리하고 회계 전표를 자동 생성합니다.

경비전표등록/조회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여 자료를 조회합니다. 일반사용자의 경우 본인으로 등록된 자료만 조회됩니다.
    2. 작성일자, 경비과목, 경비세목 등을 선택하여 경비 전표 내역을 작성합니다.
    3. 경비전표 내역을 작성 또는 수정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 표시 내역은 필수 입력값으로 반드시 입력 후 저장합니다.
    4. 작성한 경비내역은 <전자결재> 버튼을 클릭하여 결재선 지정 후 <결재요청> 합니다.
    5. 지급방법, 증빙구분, 관련번호 등은 전자결재 승인 후 입력 가능합니다. (전자결재 사용하지 않는 경우 ‘자동승인’)
    6. 전자결재 상태가 ‘완료(승인)’ 이거나 ‘자동승인’인 데이터를 <전표분개> 하여 회계전표를 생성합니다.
  • 경비전표 전자결재 상세설명
    1. 경비전자결재 사용 여부는 [회계기준정보설정] 메뉴에서 설정합니다.
    2. 전자결재 상품> 관리자 메뉴 > [사용관리] 메뉴에서 자가결재 옵션을 ‘사용’ 으로 설정시 직책이 부여된 사용자는 자가결재가 가능합니다.
    3. 직책은 회사관리자가 환경설정> 사용자/부서관리> [사용자조직도관리] 메뉴에서 설정합니다.
  • 경비전표 자동증빙 상세설명
    1. 회사관리자가 환경설정 > 인증정보관리 > [신용카드매입] 메뉴에서 (법인)카드의 인증정보를 등록합니다.
    2. 자동증빙 > [매입신용카드] 메뉴에서 카드 사용내역을 반영한 뒤, <경비전표생성> 합니다.
    3. [경비전표등록/조회] 메뉴에서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으며, 해당 경비 전표 ‘신청자’는 [(법인)카드등록/관리]에서 입력한 ‘카드 사용자’입니다.
    4. [경비전표등록/조회] 메뉴에서 ‘일반 사용자’는 본인 자료만 조회되며, <전자결재> 버튼으로 지출결의서를 결재요청할 수 있습니다.
    5. 자동증빙으로 넘어온 자료는 <전표취소> 버튼을 클릭하여 삭제 후 자동증빙 상품에서 재반영 할 수 있습니다. (<사용안함>버튼 클릭시 자동증빙에서 재작업 불가)
  • 전자결재 승인(완료)된 경비전표 수정 및 삭제 상세설명
    1. 전표가 승인까지 완료되었다면, [전표승인] 메뉴에서 <승인취소> 하여 ‘미승인’ 상태로 변경합니다.
    2. 회계관리 > [자동전표조회/취소] 메뉴에서 해당 전표를 조회하여 선택 후 <전표반려>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자동전표 반려 팝업창에서 반려 사유 등을 입력한 뒤 하단의 <전표 재작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전표취소> 버튼 클릭시 삭제 불가)
    4. 회계관리 > [경비전표등록/조회] 메뉴의 조회조건에 전표반려여부를 ‘반려’로 선택 후 검색합니다.
    5. 해당 경비전표 내역을 선택하고 하단의 <재등록>버튼을 클릭합니다.
    6. 상단 조회조건의 전표반려여부를 다시 ‘정상’ 으로 검색하여 조회된 자료를 수정 후 다시 상신하거나 <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삭제할 수 있습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경비과목 : 등록할 경비과목
    2. 경비세목 : 등록할 경비세목
    3. 사용금액 : 사용된 경비 금액
    4. 지급수수료 : 경비 사용시 발생한 수수료가 있는 경우 입력
    5. 프로젝트 : 프로젝트를 등록하여 관리하고자 한다면, [회계공통코드조회] 메뉴에서 ‘프로젝트’ 항목에 등록된 프로젝트를 선택
    6. 적요 : 입력한 경비 내역에 대한 설명 (적요 검색 아이콘을 클릭하여 자주 사용하는 적요를 등록)
    7. 거래처 : 거래 발생 거래처 (거래처 팝업 창에서 선택)
    8. 신청자 : 전표를 작성한 사원명 (회계 상품 관리자는 신청자 변경이 가능)
    9. 공급가액, 세액 : 선택된 증빙구분에 따라 공급가액, 세액은 자동으로 계산 (수정 가능)
    10. 지급방법 : 경비 지급방법 선택 (현금, 보통예금, 미지급비용(카드), 외상매입금)
    11. 증빙코드 : 경비로 사용한 금액에 대한 부가세신고 기준 코드값
    12. 관련번호 : 지급방법에 따라 현금인 경우 현금영수증번호, 보통예금인 경우 계좌번호, 카드인 경우 카드번호 등록
    13. <전표분개> 버튼을 클릭하여 회계전표 생성 후 [전표승인] 메뉴에서 <승인> 하여 부가세신고서 등에 반영
  • 자료흐름
    1. 경비전표등록/조회 -> 전표승인 -> 일(월)계표발행 -> 합계잔액시산표 -> 재무제표

1.11. 전표현황

업무별에서 작성된 전표를 상세하게 조회합니다.

전표현황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 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전표 목록을 클릭하면 하단의 전표 상세목록이 조회됩니다.
    3. 인쇄할 전표를 한건 또는 여러건을 선택하고 <일괄인쇄>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전표를 출력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전표를 작성한 사업장
    2. 작성일자 : 전표를 작성한 일자
    3. 업무구분 : 전표를 생성한 업무구분 (매출전표, 매입전표, 수금전표, 지급전표 등)
    4. 승인상태 : 전표의 승인상태 (작성중, 미승인, 승인)
    5. 회계일자 : 전표승인시 입력한 일자
  • 자료흐름
    1. 전표현황 -> 전표승인 -> 일(월)계표발행 -> 합계잔액시산표 -> 재무제표

1.12. 전표승인

업무별에서 작성된 전표를 승인처리하여 장부에 반영합니다.

전표승인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전표목록을 클릭하면 하단의 전표상세 목록이 조회됩니다.
    3. 승인일자를 입력하고 승인할 전표를 선택하여 <승인> 버튼을 클릭하면 승인되어 장부관리에 반영됩니다.
    4. 전자결재 완료(승인)된 전표를 반려하고자 할 경우 <전표반려> 버튼을 클릭하여 반려 사유 등을 입력한 뒤 <전표재작성> 버튼을 클릭하여 반려합니다.
    5. 전자결재 처리 하지 않은 전표의 경우 <전표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전표를 삭제합니다.
  • 전자결재 승인(완료)된 전표 수정 및 삭제 상세설명
    1. 전자결재 승인(완료)된 데이터를 선택 후 <전표반려> 버튼을 클릭합니다.
    2. 전표 반려 팝업창에서 반려 사유 등을 입력 후 하단의 <전표 재작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전자결재 처리한 메뉴(출장신청, 출장정산, 경비전표 등)의 조회 조건에 전표반려여부를 ‘반려’로 선택 후 검색합니다.
    4. 반려된 내역을 조회하신 뒤 <재등록> 버튼을 클릭하면 전자결재 상태가 ‘작성’으로 변경되며, 전표반려여부를 ‘정상’으로 검색합니다.
    5. 데이터가 조회되면 <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내역을 삭제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전표를 작성한 사업장
    2. 작성일자 : 전표를 작성한 일자
    3. 업무구분 : 생성된 전표의 업무구분 (매출전표, 매입전표, 수금전표,지급전표 등)
    4. 승인상태 : 전표의 승인상태(작성중, 미승인, 승인)
    5. 회계일자 : 전표승인시 입력한 회계일자
  • 자료흐름
    1. 전표승인 -> 일(월)계표발행 -> 합계잔액시산표 -> 재무제표

1.13. 자동전표조회/취소

업무구분별 발생된 자동전표를 조회하고 취소합니다.

자동전표조회/취소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미승인’ 상태의 전표만 조회됨)
    2. 자동으로 생성된 전표의 적요를 수정하고 <적요수정> 버튼을 클릭하여 수정내역을 저장합니다.
    3. <전표반려> 버튼은 전자결재 승인(완료)된 전표를 ‘반려’할 수 있습니다.
    4. <전표삭제> 버튼은 전자결재 없이 처리한 전표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 전자결재 승인(완료)된 전표 수정 및 삭제 상세설명
    1. 전자결재 승인(완료)된 데이터를 선택 후 <전표반려> 버튼을 클릭합니다.
    2. 전표 반려 팝업창에서 반려 사유 등을 입력 후 하단의 <전표 재작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전자결재 처리한 메뉴(출장신청, 출장정산, 경비전표 등)의 조회 조건에 전표반려여부를 ‘반려’로 선택 후 검색합니다.
    4. 반려된 내역을 조회하신 뒤 <재등록> 버튼을 클릭하면 전자결재 상태가 ‘작성’으로 변경되며, 전표반려여부를 ‘정상’으로 검색합니다.
    5. 데이터가 조회되면 <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내역을 삭제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업무구분 : 생성된 전표의 업무구분 (경비전표,가지급금전표 등 등록 메뉴별로 선택)
    3. 전표목록의 전표번호를 더블 클릭하면 전표 상세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4. 승인된 전표는 [전표승인] 메뉴에서 <승인취소> 후 해당 메뉴에서 조회, 삭제할 수 있습니다.
  • 자료흐름
    1. 자동전표조회/취소 -> 전표승인 -> 일(월)계표발행 -> 합계잔액시산표 -> 재무제표

1.14. 전표마감

기간별 전표를 마감합니다.

전표마감

참고

  • 기능설명
    1. 마감하려는 마감년월을 선택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월의 1일부터 말일까지 조회합니다.
    2. 마감 일자를 체크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 하면 해당 일자의 전표가 마감됩니다.
  • 전표 마감 상세설명
    1. 전표 마감된 일자에는 전표의 <승인> 또는 <승인취소> 가 되지 않습니다.
    2. 마감된 일자의 전표를 승인 또는 승인취소하고자 할 경우, [전표마감] 메뉴에서 해당 일자의 체크를 해제하여 마감을 취소한 뒤 처리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마감년월 : 마감하고자 하는 마감년월
  • 자료흐름
    1. 전표마감 -> 일(월)계표발행 -> 합계잔액시산표 -> 재무제표

1.15. 가지급금신청

업무에 필요한 가지급금을 신청하고 전자결재를 완료(승인) 후 가지급금 신청전표를 자동 생성합니다.

가지급금 신청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 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신규> 버튼을 클릭하여 가지급 신청 내역을 입력합니다.
    3. 입력된 가지급금 신청 내역을 선택한 후 <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삭제합니다.
    4. 가지급금 신청 내역 입력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자료를 저장합니다.
    5. 가지급금 신청 내역을 선택하고 <회계조회> 버튼을 클릭하면 분개된 전표내역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6. 등록한 가지급금 신청 내역을 작성 후 <전자결재> 버튼을 클릭하여 <결재선> 지정 후 <결재요청> 합니다.
    7. 전자결재 승인이 완료된 가지급금 신청 내역의 지급방법을 선택하여 <전표분개> 합니다.
  • 가지급금신청 전자결재 상세설명
    1. 가지급금전자결재 사용 여부는 [회계기준정보설정] 메뉴에서 설정합니다.
    2. 전자결재 상품> 관리자 메뉴 > [사용관리] 메뉴에서 자가결재 옵션을 ‘사용’ 으로 설정시 직책이 부여된 사용자는 자가결재가 가능합니다.
    3. 직책은 회사관리자가 환경설정> 사용자/부서관리> [사용자조직도관리] 메뉴에서 설정합니다.
  • 전자결재 진행완료된 가지급금신청전표 수정 및 삭제 상세설명
    1. 전표가 승인까지 완료되었다면, [전표승인] 메뉴에서 <승인취소> 하여 ‘미승인’ 상태로 변경합니다.
    2. 회계관리 > [자동전표조회/취소] 메뉴에서 해당 전표를 조회하여 선택 후 <전표반려>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자동전표 반려 팝업창에서 반려 사유 등을 입력한 뒤 하단의 <전표 재작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4. 회계관리 > [가지급금신청] 메뉴의 조회조건에 전표반려여부를 ‘반려’로 선택 후 검색합니다.
    5. 해당 가지급금신청 내역을 선택하고 하단의 <재등록> 버튼을 클릭합니다.
    6. 상단 조회조건의 전표반려여부를 다시 ‘정상’ 으로 검색하여 조회된 자료를 수정 후 다시 상신하거나 <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삭제할 수 있습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가지급금을 신청한 사업장
    2. 작성일자 : 가지급금을 신청하는 일자 (From ~ To)
    3. 계정코드 : 사용할 가지급금 계정코드
    4. 정리예정일 : 가지급금을 정리할 예정일
    5. 가지급금액 : 신청할 가지급금 금액
    6. 귀속부서 : 가지급금을 사용할 부서
    7. 신청자 : 가지급금을 사용할 사원명
    8. 신청사유 : 가지급금을 사용할 설명문 (신청사유 검색 아이콘을 클릭하면 자주 사용하는 신청사유를 선택하여 입력)
  • 자료흐름
    1. 가지급금신청 -> 자동전표조회/취소 -> 전표승인 -> 일(월)계표발행 -> 합계잔액시산표 -> 재무제표

1.16. 가지급금정산

업무에 사용한 가지급금을 정리하고 전자결재를 완료(승인) 후 가지급금 정산전표를 자동 생성합니다.

가지급금정산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 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신규> 버튼을 클릭하여 가지급 청산 내역을 입력합니다.
    3. 입력된 가지급금 정산 내역을 선택한 후 <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삭제합니다.
    4. 가지급금 정산 내역 입력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자료를 저장합니다.
    5. 가지급금 정산내역을 선택하고 <전자결재> 버튼을 클릭하여 <결재선> 지정 후 <결재요청> 합니다.
    6. 전자결재 승인이 완료된 가지급금 정산 내역의 지급방법을 선택하여 <전표분개> 합니다.
  • 가지급금정산 상세설명
    1. 가지급금 신청 내역이 전표 분개되어 [전표승인] 메뉴에서 <승인> 까지 완료된 자료가 조회됩니다.
    2. 가지급금 신청시 금액과 가지급금 정산시 금액과 다를 경우, 차액에 대해 정리구분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정리구분으로 전표가 분개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가지급금을 사용한 사업장
    2. 작성일자 : 가지급금 정산일자 (From ~ To)
    3. 계정과목 : 정산할 가지급금 계정
    4. 정리예정일 : 가지급금을 정리할 예정일
    5. 사용금액 : 정산할 가지급금 금액
    6. 신청사유 : 가지급금 정산할 설명문 (신청사유 검색 아이콘을 클릭하면 자주 사용하는 신청사유를 선택하여 입력)
  • 자료흐름
    1. 가지급금정산 -> 자동전표조회/취소 -> 전표승인 -> 일(월)계표발행 -> 합계잔액시산표 -> 재무제표

1.17. 채권수금등록

기 발행된 매출채권에 대한 수금처리를 하고 수금전표를 자동 생성합니다.

채권수금등록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수금 처리할 채권 내역을 선택한 뒤 <신규> 버튼을 클릭하여 수금 내역을 입력합니다..
    3. 하단의 채권수금내역을 선택하고 <삭제> 버튼을 클릭하면 수금 전표 삭제가 가능합니다. 전표가 승인 상태인 경우 [전표승인] 메뉴에서 <승인취소> 한 뒤 삭제합니다.
    4. 수금내역를 입력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수금 전표를 생성합니다. 생성된 전표는 [전표승인] 메뉴에서 <승인> 합니다.
    5. 수금이 완료된 데이터도 조회하고자 할 경우, ‘수금완료포함’ 에 체크하여 검색합니다.
  • 채권수금등록 상세설명

    1. 수금내역이 등록된 매출 전표를 수정하고자 할 경우, 수금 내역을 삭제 한 뒤 수정이 가능합니다.

    2. 회계 > 회계기초잔액관리 > [채권채무잔액관리] 메뉴에서 <기초잔액적용> 된 데이터가 조회됩니다.

      • [채권채무잔액관리] 메뉴에서 기초잔액 적용된 채권 데이터는 전표 번호 ‘100000000000000’ 으로 생성됩니다.
      • 기초잔액 이월된 내역은 사용시작년월이 2016/02인 경우, 전월 말일(2016/01/31)부터 검색해야 데이터가 조회됩니다.
    3. 수금 등록만 이루어진 경우 미수금 잔액에서 차감되지 않으며, [전표승인] 메뉴에서 <승인> 시 미수금 잔액이 차감됩니다.

  • 채권수금등록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계정코드 : 매출채권 계정과목
    3. 회계일자 : 조회할 회계일자 (From ~ To)
    4. 거래처 : 채권이 발생한 거래처
    5. 채권발생액 : 채권이 발생한 금액
    6. 수금승인액합계 : 채권에 대한 수금을 등록하여 승인까지 완료된 수금액 합계
    7. 미수금잔액 : 채무발생액 – 수금승인액합계
    8. 수금미승인액합계 : 채권에 대한 수금 등록은 하였지만 전표가 미승인 상태의 수금액 합계
  • 채권수금등록 상세내역 주요항목 설명

    1. 전표번호 : 전표가 생성된 일련번호
    2. 수금일자 : 매출채권의 수금한 일자
    3. 수금방법 : 수금한 형태 (현금, 예금, 받을어음, 매출에누리, 수수료, 잡손실, 선수금_영업, 선수금)
    4. 계좌번호 : 수금이 예금계좌로 입금된 경우 입금계좌번호([(법인)계좌등록/관리]메뉴에서 입력된 계좌번호를 콤보에서 선택)
    5. 수금액 : 실제 수금한 금액
    6. 발행일 : 수금방법이 어음인 경우 어음을 발행한 일자
    7. 만기일 : 수금방법이 어음인 경우 어음의 만기일자
    8. 어음번호 : 수금방법이 어음인 경우 어음번호
    9. 발행은행 : 수금방법이 어음인 경우 발행한 은행
    10. 적요 : 수금에 대한 설명
  • 자료흐름

    1. 채권수금등록 -> 전표승인 -> 채권수금현황

1.18. 채권수금현황

기 발행된 매출채권에 대한 수금처리를 조회 및 인쇄합니다.

채권수금현황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조회된 채권수금현황을 인쇄하려면 <인쇄>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수금이 완료된 데이터도 조회하고자 할 경우, ‘수금완료포함’ 에 체크하여 검색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계정과목 : 매출채권 계정과목
    3. 회계일자 : 조회할 회계일자 (From ~ To)
    4. 거래처 : 채권이 발생한 거래처

1.19. 채권수금일보조회

매출채권에 대한 정산현황을 거래처별로 수금일보를 조회 및 인쇄합니다.

채권수금일보조회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조회된 채권수금 내역 현황을 인쇄하려면 <인쇄>버튼을 클릭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계정과목 : 매출채권 계정과목
    3. 회계일자 : 조회할 회계일자(From ~ To)
    4. 수금방법 : 수금한 형태 (현금, 예금, 받을어음, 매출에누리, 수수료, 잡손실, 선수금_영업, 선수금)

1.20. 채권잔액명세서발행

매출채권에 대한 잔액을 거래처별, 계정과목별로 조회 및 인쇄합니다.

채권잔액명세서발행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조회된 채권잔액명세서 발행 내역을 인쇄하려면 <인쇄>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수금이 완료된 데이터도 조회하고자 할 경우, ‘수금완료포함’ 에 체크하여 검색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계정과목 : 매출채권 계정과목
    3. 회계일자 : 조회할 회계일자 (From ~ To)
    4. 채권발생금액 : 채권이 발생한 금액
    5. 수금금액 : 채권을 회수한 수금액합계로 수금 등록 후 전표 승인까지 완료된 금액
    6. 미수금잔액 : 채권발생금액 – 수금금액
    7. 미승인수금액 : 수금 등록 하였지만 전표가 미승인 상태의 금액으로 미수금잔액에서 차감되지 않음.

1.21. 영업선수금채권수금처리

영업에서 발생한 채권수금 잔액을 거래처별로 정리합니다.

영업선수금채권수금처리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정리할 영업선수금 내역을 선택하고 잔액처리일자를 입력하여 <잔액전체처리> 버튼을 클릭하면 채권수금 잔액이 정리됩니다.
  • 영업선수금채권수금 처리 순서 설명

    1. 영업 > [출하등록], [매장판매등록], 재고관리 > [매출거래명세서발행/관리] 메뉴에서 외상 거래 발생 내역을 등록하여 [매출세금계산서일괄생성] 메뉴에서 세금계산서를 생성합니다.

    2. 회계 > [매출회계전표생성] 메뉴에서 <전표분개> 버튼으로 전표를 생성한 뒤, [전표승인] 메뉴에서 <승인>합니다.

      • (차) 외상매출금 / (대) 제품 또는 상품 등 매출 xxx
    3. 영업관리> [입출금등록] 메뉴에서 매출 내역에 대해 보통예금 또는 현금 등 입금을 등록한 뒤, [입출금회계분개] 메뉴에서 전표로 생성하여 [전표승인] 메뉴에서 승인합니다.

      • (차) 보통예금 또는 현금 등 xxx / (대) 선수금_영업 xxx
    4. [영업선수금채권수금처리] 메뉴에서 데이터를 조회한 뒤, <잔액전체처리> 버튼을 눌러 잔액을 정리합니다.

      • (차) 선수금_영업 xxx / (대) 외상매출금 xxx
  • 주요항목 설명

    1. 발생금액 : 영업입금전표가 승인된 금액
    2. 정리중금액 : 채권수금으로 영업선수금이 정리되어 미승인 상태인 금액
    3. 정리금액 : 채권수금으로 영업선수금이 정리되어 승인까지 완료된 금액
    4. 미승인잔액 : 채권수금으로 수금되고 남은 영업선수금 잔액

1.22. 채무지급등록

기 발생된 매입채무에 대한 지급처리를 하고 지급전표를 자동 생성합니다.

채무지급등록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지급 처리할 채무 내역을 선택하고 <신규> 버튼을 클릭하여 지급 내역을 입력합니다.
    3. 하단의 채무지급내역을 선택하고 <삭제> 버튼을 클릭하면 지급 전표가 샥제됩니다. 전표가 승인 상태인 경우 [전표승인] 메뉴에서 <승인취소> 한 뒤 삭제합니다.
    4. 지급정보를 입력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지급 전표를 생성합니다. 생성된 전표는 [전표승인] 메뉴에서 <승인> 합니다.
    5. 지급이 완료된 데이터도 조회하고자 할 경우, ‘지급완료포함’에 체크하여 검색합니다.
  • 채무지급등록 상세설명

    1. 지급내역이 등록된 매입 전표를 수정하고자 할 경우, 지급 내역을 삭제 한 뒤 수정이 가능합니다.

    2. 회계 > 회계기초잔액관리 > [채권채무잔액관리] 메뉴에서 <기초잔액적용> 된 데이터가 조회됩니다.

      • [채권채무잔액관리] 메뉴에서 기초잔액 적용된 채무 데이터는 전표 번호 ‘200000000000000’ 으로 생성됩니다.
      • 기초잔액 이월된 내역은 사용시작년월이 2016/02인 경우, 전월 말일(2016/01/31)부터 검색해야 데이터가 조회됩니다.
    3. 지급 등록만 이루어진 경우 미지급 잔액에서 차감되지 않으며, [전표승인] 메뉴에서 <승인> 시 미지급 잔액이 차감됩니다.

  • 채무지급등록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계정코드 : 매입채무 계정과목
    3. 회계일자 : 조회할 회계일자(From ~ To)
    4. 거래처 : 채무가 발생한 거래처
    5. 채무발생액 : 채무가 발생한 금액
    6. 지급승인액합계 : 채무에 대한 지급을 등록하여 승인까지 완료된 지급액 합계
    7. 미지급잔액 : 채무발생액 – 지급승인액합계
    8. 지급미승인액합계 : 채무에 대한 지급 처리는 하였지만 전표가 미승인 상태의 지급액 합계
  • 채무지급등록 상세내역 주요항목 설명

    1. 전표번호 : 전표가 생성된 일련번호
    2. 지급일자 : 채무지급일자
    3. 지급방법 : 지급하는 형태 (현금, 예금, 지급어음, 선급금_영업, 선급금)
    4. 계좌번호 : 지급할 채무를 인출하여 보내준 계좌번호([(법인)계좌등록/관리]메뉴에서 입력된 계좌번호를 콤보에서 선택)
    5. 지급액 : 채무 지급할 금액
    6. 수수료 : 송금수수료
    7. 발행일 : 어음을 발행한 일자
    8. 만기일 : 어음의 만기일
    9. 어음번호 : 지급어음으로 지급하면 지급할 어음번호
    10. 발행은행 : 어음을 발행한 어음
    11. 자타구분 : 자기어음인지 타사어음인지 구분
    12. 적요 : 지급에 대한 설명
  • 자료흐름

    1. 채무지급등록 -> 전표승인 -> 채무지급현황

1.23. 채무지급현황

기 발생한 매입채무에 대한 지급처리를 조회 및 인쇄합니다.

채무지급현황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조회된 채무지급현황을 인쇄하려면 <인쇄>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지급이 완료된 데이터도 조회하고자 할 경우, ‘지급완료포함’에 체크하여 검색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거래처 : 매입채무 거래처
    3. 회계일자 : 조회할 회계일자 (From ~ To)

1.24. 채무잔액명세서발행

매입채무에 대한 잔액을 거래처별, 계정과목별로 조회 및 인쇄합니다.

채무잔액명세서발행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조회된 채무잔액명세서 발행내역을 인쇄하려면 <인쇄>버튼을 클릭합니다.
    3. 지급이 완료된 데이터도 조회하고자 할 경우, ‘지급완료포함’에 체크하여 검색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계정과목 : 매입채무 계정과목
    3. 회계일자 : 조회할 회계일자 (From ~ To)
    4. 채무번호 : 채무가 발생될때 생성되는 번호
    5. 채무발생금액 : 채무가 발생한 금액
    6. 지급금액 : 채무를 지급한 지급액합계로 지급 등록 후 전표 승인까지 완료된 금액
    7. 미지급잔액 : 채무발생금액 – 지급금액
    8. 미승인지급액 : 지급 등록 하였지만 전표가 미승인 상태의 금액으로 미지급금잔액에서 차감되지 않음.

1.25. 영업선급금채무지급처리

영업에서 발생한 선급금 채무지급 잔액을 거래처별로 정리합니다.

영업선급금채무지급처리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정리할 영업선급금 내역을 선택하고 잔액처리일자를 입력하여 <잔액전체처리>버튼을 클릭하면 채무지급 잔액이 정리됩니다.
  • 영업선급금채무지급 처리 순서 설명

    1. 재고관리 > [매입거래명세서발행/관리] 메뉴에서 외상 거래 발생 내역을 등록하여 [매입세금계산서일괄생성] 메뉴에서 세금계산서를 생성합니다.

    2. 회계 > [매입회계전표생성] 메뉴에서 <전표분개> 버튼으로 전표를 생성한 뒤, [전표승인] 메뉴에서 <승인>합니다.

      • (차) 제품 또는 상품 등 xxx / (대) 외상매입금 xxx
    3. 영업관리> [입출금등록] 메뉴에서 매입 내역에 대해 보통예금 또는 현금 등 출금을 등록한 뒤, [입출금회계분개] 메뉴에서 전표로 생성하여 [전표승인] 메뉴에서 승인합니다.

      • (차) 선급금_영업 xxx / (대) 보통예금 또는 현금 등 xxx
    4. [영업선급금채무지급처리] 메뉴에서 데이터를 조회한 뒤, <잔액전체처리> 버튼을 눌러 잔액을 정리합니다.

      • (차) 외상매입금 xxx / (대) 선급금_영업 xxx
  • 주요항목 설명

    1. 발생금액 : 영업출금전표가 승인된 금액
    2. 정리중금액 : 채무지급으로 영업선급금이 정리되어 미승인 상태인 금액
    3. 정리금액 : 채무지급으로 영업선수금이 정리되어 승인까지 완료된 금액
    4. 미승인잔액 : 채무지급으로 지급되고 남은 영업선급금 잔액

1.26. 현금출납표발행

현금의 수입과 지출을 표시한 장부로서 현금출납장을 조회 및 인쇄합니다.

현금출납표발행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조회된 현금출납표내역을 인쇄하려면 <인쇄> 버튼을 클릭합니다.
    3. 현금출납상세 내역을 조회하려면 <보조부조회> 버튼을 클릭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회계년월 : 조회할 회계년월

1.27. 자금일보조회

입출금 내역, 계좌 잔고현황, 기타자금내역을 조회 및 인쇄합니다.

자금일보조회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조회된 자금일보내역을 인쇄하려면 <인쇄> 버튼을 클릭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회계일자 : 조회할 회계일자
    3. 계정과목 : 현금,예금계정
    4. 매출채권 : 외상매출금,받을어음 금액
    5. 매입채무 : 외상매입금,지급어음 금액
    6. 차입금 : 금융기관에서 차입한 금액
    7. 대여금 : 사원이나 거래처에 대여해준 금액
    8. 받을어음 : 거래처로부터 받은 어음
    9. 지급어음 : 거래처에 지급한 어음

1.28. (법인)계좌등록/관리

거래 활동 중 예적금의 내역 관리를 위해 상세 정보를 조회, 등록 합니다.

(법인)계좌등록/관리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신규> 버튼을 클릭하여 계좌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3. 신규 계좌 입력 및 계좌 정보 수증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저장합니다.
    4. <삭제> 버튼으로 등록된 계좌 정보를 삭제합니다. 계좌번호는 수정되지 않으므로 계좌번호를 잘못 입력한 경우 삭제 후 재등록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계좌번호 : 예적금 계좌에 대한 계좌번호를 등록 (등록된 계좌번호는 수정할 수 없습니다.)
    3. 계좌명 : 예적금 계좌에 대한 명칭
    4. 계정코드 : 해당계좌의 계정코드 ([회계계정과목설정]메뉴에 등록된 관련계정을 등록합니다.)
    5. 계약금액 : 적금인 경우 계약금액
    6. 약정이자율 : 계좌에 대한 약정이자율
    7. 개설일 : 계좌를 개설한 일자
    8. 만기일 : 정기예,적금인 경우 만기일자
    9. 매월불입일 : 정기예,적금의 납입일자
    10. 사용여부 : 계좌가 만기,해지된 경우 미사용으로 처리하며, 미사용처리시 등록 메뉴에서 미표기됩니다.

1.29. 예적금불입등록

정기예금,적금의 약정기간 동안의 불입금을 등록하고 전표를 자동 생성합니다.

예적금불입등록

참고

  • 기능설명
    1. 만기일자, 은행 등을 선택하여 <검색> 합니다. 만기일 기준으로 조회되므로 해당 계좌의 만기일을 확인합니다.
    2. 하단 <신규> 버튼을 클릭하여 불입금액, 지불계좌, 적요를 입력합니다.
    3. 데이터를 입력 및 수정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불입내역이 등록되며, 예적금불입전표가 자동 생성됩니다.
    4. 하단의 불입내역에서 삭제할 불입내역을 선택하고 <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승인된 전표는 승인취소해야 삭제할 수 있습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은행선택 : 거래하는 은행 선택
    3. 만기일자 : 조회할 만기일자 (From ~ To)
    4. 계좌번호 : [(법인)계좌등록/관리] 메뉴에서 등록한 적금, 예적금 계좌를 선택
    5. 불입금액 : 계좌로 불입할 금액
    6. 불입일자 : 계좌로 입금한 일자
    7. 적요 : 불입사유
    8. 지불계좌번호 : 지불하는 계좌를 등록
  • 자료흐름
    1. 예적금불입등록 -> 전표승인 -> 예적금불입현황

1.30. 예적금불입현황

정기예금,적금의 불입현황을 조회 및 인쇄합니다.

예적금불입현황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조회된 예적금불입현황을 인쇄하려면 <인쇄> 버튼을 클릭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은행선택 : 조회할 은행 선택
    3. 불입일자 : 조회할 불입일자 (From ~ To)

1.31. 예적금계좌별거래내역조회

예적금계좌별 거래내역을 조회 및 인쇄합니다.

예적금계좌별거래내역조회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조회된 예적금계좌별거래내역을 인쇄하려면 <인쇄> 버튼을 클릭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예적금유형 : 조회할 계좌의 유형 및 계좌선택(보통예금,기업자유예금,MMF 등)
    3. 거래일자 : 조회할 거래일자(From ~ To)
    4. 전표번호 : 거래가 이루어진 전표의 전표번호
    5. 회계 전표번호를 클릭하면 전표세부내용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1.32. 은행별잔액조회

은행별로 거래내역을 조회 및 인쇄합니다.

은행별잔액조회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조회된 은행별잔액을 인쇄하려면 <인쇄> 버튼을 클릭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은행선택 : 거래하는 은행 선택
    3. 거래일자 : 조회할 거래일자(From ~ To)
    4. 전일잔액 : 거래가 이루어진 일자의 시작일 이전 잔액
    5. 입금 : 계좌로 입금된 금액
    6. 출금 : 계좌로 출금된 금액
    7. 당일잔액 : 전일잔액 + 입금 - 출금

1.33. 계좌별잔액조회

계좌별 잔액 집계 내역을 조회 및 인쇄합니다.

계좌별잔액조회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조회된 계좌별 잔액을 인쇄하려면 <인쇄> 버튼을 클릭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계좌선택 : 거래하는 계좌 선택
    3. 거래일자 : 조회할 거래일자(From ~ To)
    4. 전일잔액 : 거래가 이루어진 일자의 시작일 이전 잔액
    5. 입금 : 계좌로 입금된 금액
    6. 출금 : 계좌로 출금된 금액
    7. 당일잔액 : 전일잔액 + 입금 – 출금

1.34. 은행별보조부조회

은행별 거래내역 및 증감 내역을 조회 및 인쇄합니다.

은행별보조부조회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조회된 은행별보조부를 인쇄하려면 <인쇄> 버튼을 클릭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은행선택 : 조회할 은행 선택
    3. 거래년월 : 조회할 거래년월(From ~ To)
    4. 계좌번호 : 조회할 계좌번호
    5. 이월금액(잔액) : 전기(월)에서 넘어온 잔액
    6. 발생금액(증가) : 거래년월(From ~ To)에 발생한 차변금액
    7. 발생금액(감소) : 거래년월(From ~ To)에 발생한 대변금액
    8. 발생금액(잔액) : 거래년월(From ~ To)에 발생한 차변금액 - 거래년월(From ~ To)에 발생한 대변금액
    9. 누계금액(증가) : 전기이월 (증가) + 발생금액(증가)
    10. 누계금액(감소) : 전기이월 (감소) + 발생금액(증가)
    11. 누계금액(잔액) : 전기이월 (잔액) + 발생금액(잔액)

1.35. 계좌별보조부조회

계좌별 거래내역 및 증감 내역을 조회 및 인쇄합니다.

계좌별보조부조회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조회된 계좌별보조부를 인쇄하려면 <인쇄> 버튼을 클릭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계좌번호 : 조회할 계좌번호 선택
    3. 거래년월 : 조회할 거래년월(From ~ To)
    4. 이월금액(잔액) : 전기(월)에서 넘어온 잔액
    5. 발생금액(증가) : 거래년월(From ~ To)에 발생한 차변금액
    6. 발생금액(감소) : 거래년월(From ~ To)에 발생한 대변금액
    7. 발생금액(잔액) : 거래년월(From ~ To)에 발생한 차변금액 - 거래년월(From ~ To)에 발생한 대변금액
    8. 누계금액(증가) : 전기이월 (증가) + 발생금액(증가)
    9. 누계금액(감소) : 전기이월 (감소) + 발생금액(증가)
    10. 누계금액(잔액) : 전기이월 (잔액) + 발생금액(잔액)

1.36. 계좌별입출금/잔액조회

거래일자(From ~ To)에 따른 계좌별 입출금 및 세부 내역을 조회 및 인쇄합니다.

계좌별입출금/잔액조회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조회된 계좌별 입출금/잔액 세부내역을 인쇄하려면 <인쇄> 버튼을 클릭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계좌번호 : 조회할 계좌번호 선택
    3. 거래일자 : 조회할 거래일자 (From ~ To)
    4. 전일잔액 : 거래가 이루어진 일자의 시작일 이전 잔액
    5. 입금 : 계좌로 입금된 금액
    6. 출금 : 계좌로 출금된 금액
    7. 당일잔액 : 전일잔액 + 입금 – 출금
    8. 전표번호 : 전표생성된 번호

1.37. (법인)카드등록/관리

신용카드(법인개인, 법인공통, 전체)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합니다.

(법인)카드등록/관리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신규> 버튼을 클릭하여 카드번호, 카드사, 카드종류, 발급일자, 유효기간 등을 입력합니다.
    3. <삭제> 버튼으로 등록된 카드 정보을 삭제합니다. 법인 카드 번호는 수정되지 않으므로 카드번호를 잘못 입력한 경우 삭제 후 재등록합니다.
    4. 법인 카드 내역 입력 및 수정이 완료되면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카드번호 : 보유하고 있는 카드번호를 등록하며, 등록한 카드번호는 수정할 수 없습니다.
    3. 카드사용자 : 카드를 사용하는 사원번호를 등록합니다. 등록된 사용자는 자동증빙을 통해 불러온 매입 신용카드 거래내역의 사용자로 자동반영됩니다.
    4. 한도액 : 카드의 한도액을 등록합니다. 카드발급시 한도액이 설정된 경우 관리 목적을 위해 등록합니다.
    5. 발행사_카드사 : 카드를 발행한 카드사를 등록
    6. 카드종류 : 카드의 종류를 등록 (법인, 법인개인, 현금카드, 복지카드)합니다. 등록된 카드종류에 따라 부가세 신고서 첨부서류인 [신용카드매출전표수령명세서]메뉴의 카드구분에 적용됩니다.
    7. 사용부서 : 카드를 사용하는 부서를 등록 (공통카드의 경우 대표 부서를 등록합니다.)
    8. 카드구분 : 카드의 구분을 등록(법인공통,법인개인),
    9. 발급일자 : 카드의 발급일자를 등록
    10. 유효기간 : 카드의 사용유효기간을 등록
    11. 결제계좌번호 : 카드대금의 결제용 계좌번호 ((법인)계좌등록/관리]메뉴에서 입력된 예금 계좌번호를 콤보에서 선택)
    12. 결제일 : 카드대금을 결제하는 일자를 등록
    13. 비고 : 카드에 대한 설명문이 있는 경우 등록
    14. 상태 : 카드의 상태를 등록’만료,사용,분실’ (상태가 만료,분실의 경우 전표 입력 등의 메뉴에 해당 카드 정보가 조회되지 않습니다.)
    15. 폐기일자 : 카드를 폐기한 경우, 폐기일자를 등록

1.38. 법인카드결제(전표)등록

신용카드 사용 내역에 대한 카드사 결제 전표를 자동 생성합니다.

법인카드결제(전표)등록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결제할 카드사용내역을 체크하여 법인카드 결제처리 전표입력 (작성일자, 계좌번호, 적요)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법인카드사용전표가 자동 생성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카드사 : 조회할 카드사 선택
    3. 지출일자 : 카드를 사용한 일자
    4. 카드번호 : 사용한 카드번호
    5. 작성일자 : 전표 작성일자
    6. 계좌번호 : 카드대금을 결제할 계좌번호([(법인)계좌등록/관리]메뉴에서 입력된 계좌번호를 콤보에서 선택)
    7. 적요 : 법인카드 결제전표에 대한 적요
    8. 자동분개는 (차) 미지급비용_신용카드 or 미지급금_시용카드 xxx / (대) 보통예금 xxx 로 생성됩니다.
    9. 생성된 전표는 [전표승인] 메뉴에서 <승인> 하여 장부에 반영합니다.
  • 자료흐름
    1. 법인카드결제(전표)등록 -> 전표승인 -> 일(월)계표발행 -> 합계잔액시산표 -> 재무제표

1.39. 카드매출수금(전표)등록

신용카드로 매출이 발생한 경우 카드사로부터 대금을 수령하고 전표를 자동 생성합니다.

카드매출수금(전표)등록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수금처리할 카드매출내역을 체크하여 수금처리 내역(작성일자, 계좌번호, 적요)를 입력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카드수금전표가 자동 생성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카드사 : 조회할 카드사 선택
    3. 전표회계일자 : 카드매출이 발생한 일자
    4. 전표생성여부 : 카드매출수금 전표의 생성여부(생성,미생성)
    5. 계좌번호 : 입금 계좌번호([(법인)계좌등록/관리]메뉴에서 입력된 계좌번호를 콤보에서 선택)
    6. 적요 : 카드매출 수금전표에 대한 적요
    7. 자동분개는 (차) 보통예금 xxx / (대) 미수금_카드 xxx 로 생성됩니다.
    8. 생성된 전표는 [전표승인] 메뉴에서 <승인> 하여 장부에 반영합니다.
  • 자료흐름
    1. 카드매출수금전표 -> 전표승인 -> 일(월)계표발행 -> 합계잔액시산표 -> 재무제표

1.40. 현금영수증사용내역

현금영수증으로 매입, 매출이 이루어진 내역을 조회기간별로 조회합니다.

현금영수증사용내역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매출입구분으로 매입, 매출 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지출일자 : 현금영수증 승인 일자

1.41. 보조부발행

계정과목별 증감 내역을 구체적(건별)으로 표시한 장부로서 계정별 보조원장을 조회 및 인쇄합니다.

보조부발행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조회된 계정별 보조부를 인쇄하려면 <인쇄>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조회된 계정별 보조부를 엑셀로 다운로드하려면 <엑셀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합니다.
    4. 전표에서 프로젝트를 등록한 경우, 프로젝트 선택하여 프로젝트별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계정과목 : 조회할 계정과목
    3. 회계일자 : 조회할 회계일자 (From ~ To)
    4. 관련번호 : 조회할 관련번호 (계좌번호,어음번호,카드번호 등)
    5. 전기(월)금액(잔액) : 전기(월)에서 넘어온 잔액
    6. 발생금액(증가) : 회계일자(From ~ To)에 발생한 차변금액
    7. 발생금액(감소) : 회계일자(From ~ To)에 발생한 대변금액
    8. 발생금액(잔액) : 회계일자(From ~ To)에 발생한 차변금액 - 회계일자(From ~ To)에 발생한 대변금액
    9. 누계금액(증가) : 전기이월 (증가) + 발생금액(증가)
    10. 누계금액(감소) : 전기이월 (감소) + 발생금액(증가)
    11. 누계금액(잔액) : 전기이월 (잔액) + 발생금액(잔액)
    12. 전표번호를 더블 클릭하면 전표세부 내용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1.42. 분개장발행

조회기간별 전표분개내역을 조회 및 인쇄합니다.

분개장발행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조회된 분개장 내역을 인쇄하려면 <인쇄>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조회된 분개장 내역을 엑셀로 다운로드하려면 <엑셀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회계일자 : 조회할 회계일자 (From ~ To)
    3. 전표번호를 더블 클릭하면 전표세부 내용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1.43. 일(월)계표발행

일 또는 월간 발생한 거래 내역을 계정별로 집계하여 표시한 장부로서 일(월)계표를 조회 및 인쇄합니다.

일(월)계표발행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조회된 일(월)계표를 인쇄하려면 <인쇄>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조회된 일(월)계표를 엑셀로 다운로드하려면 <엑셀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기간 : 조회할 회계일자 (From ~ To)
  • 자료흐름
    1. 일(월)계표발행 -> 합계잔액시산표 -> 재무제표

1.44. 총계정원장발행

설정한 기간 동안의 계정과목별 전표 발생 금액을 조회 및 인쇄합니다.

총계정원장발행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조회된 총계정원장 내역을 인쇄하려면 <인쇄>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조회된 계정과목의 상세내역을 조회하려면 <보조부조회> 버튼을 클릭합니다.
    4. 조회된 총계정원장 내역을 엑셀로 다운로드하려면 <엑셀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계정과목 : 조회할 계정과목
    3. 회계일자 : 조회할 회계일자(From ~ To)

1.45. 계정명세서발행

계정별, 거래처별 잔액을 조회 및 인쇄합니다.

계정명세서발행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조회된 계정명세서 내역을 인쇄하려면 <인쇄>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조회된 계정명세서 내역을 엑셀로 다운로드하려면 <엑셀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계정과목 : 조회할 계정과목
    3. 회계년월 : 조회할 회계년월
    4. 거래처 : 조회할 거래처
    5. 관련번호 : 조회할 관련번호 (계좌번호,카드번호,어음번호 등)

1.46. 계정별잔액증감현황조회

계정별 잔액의 증감을 조회 및 인쇄합니다.

계정별잔액증감현황조회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조회된 계정별잔액증감현황을 인쇄하려면 <인쇄> 버튼을 클릭합니다.
    3. 계정과목을 클릭하여 보조부조회 팝업창에서 상세내역을 조회 할 수 있습니다.
    4. 조회된 계정별잔액증감현황을 엑셀로 다운로드하려면 <엑셀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계정과목 : 조회할 계정과목
    3. 회계년월 : 조회할 회계년월

1.47. 결산조정

제조 기초/당기/타계정/기말 원재료비등 결산시에 발생하는 금액을 등록하여 결산작업을 합니다.

결산조정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각 계정별 금액을 입력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결산조정자료가 저장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결산년월 : 입력할 결산년월
    3. 계정코드 : 결산조정계정
    4. 금액 : 계정금액
  • 자료흐름
    1. 결산조정 -> [제조원가명세서발행

1.48. 대차대조표발행

일정시점의 자산, 부재, 자본 상태를 나타내는 장부로서 대차대조표 조회 및 인쇄합니다.

대차대조표발행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인쇄> 버튼을 클릭하면 대차대조표가 인쇄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결산년월 : 조회할 결산년월
    3. 당기 : 당해년도에 발생한 금액
    4. 전기 : 전년도에 발생한 금액

1.49. 손익계산서발행

일정시점의 모든 수익과 이에 대응하는 모든 비용을 표시하여 기업의 경영성과를 나타내는 장부로써 손익계산서를 조회 및 인쇄합니다.

손익계산서발행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인쇄> 버튼을 클릭하면 손익계산서가 인쇄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결산년월 : 조회할 결산년월
    3. 당기 : 당해년도에 발생한 금액
    4. 전기 : 전년도에 발생한 금액

1.50. 합계잔액시산표발행

조회하는 기간의 계정별 차/대변 합계 및 잔액을 표기하여 모든 계정의 차대 합계금액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장부로서 합계잔액시산표를 조회 및 인쇄합니다.

합계잔액시산표발행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인쇄> 버튼을 클릭하면 합계잔액시산표가 인쇄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결산년월 : 조회할 결산년월
    3. 당기 : 당해년도에 발생한 금액
    4. 전기 잔액: 전년도에서 넘어온 잔액(자산,부채,자본계정)
    5. 합계 : 당기 + 전기잔액

1.51.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발행

이익잉여금의 처분사항을 보고하는 자료로 회계기간 동안 발생한 이월이익잉여금의 총 변동 사항을 보고하는 동적 보고자료입니다.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발행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인쇄> 버튼을 클릭하면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가 인쇄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결산년월 : 조회할 결산년월
    3. 당기 : 당해년도에 발생한 금액
    4. 전기 : 전년도에서 발생한 금액

1.52. 결손금처분계산서발행

이익잉여금의 결손금 처분사항을 보고하는 자료입니다. 회계기간 동안 발생한 이월결손금의 총 변동 사항을 보고하는 동적 보고자료입니다.

결손금처분계산서발행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인쇄> 버튼을 클릭하면 결손금처분계산서가 인쇄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결산년월 : 조회할 결산년월
    3. 당기 : 당해년도에 발생한 금액
    4. 전기 : 전년도에서 발생한 금액

1.53. 제조원가명세서발행

일정시점의 완성된 제품 전체의 원가를 재료비, 노무비, 경비등 원가요소별로 내역을 상세히 나타내는 장부로서 제조원가명세서를 조회 및 인쇄합니다.

제조원가명세서발행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인쇄> 버튼을 클릭하면 제조원가명세서가 인쇄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결산년월 : 조회할 결산년월
    3. 당기 : 당해년도에 발생한 금액
    4. 전기 : 전년도에서 발생한 금액

1.54. 용역원가명세서발행

일정시점의 용역전체의 원가를 재료비,노무비,경비등 원가요소 별로 그 내역을 상세히 나타내는 장부로서 용역원가명세서를 조회 및 인쇄합니다.

용역원가명세서발행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인쇄> 버튼을 클릭하면 용역원가명세서가 인쇄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결산년월 : 조회할 결산년월
    3. 전월누계 : 전월까지의 누계
    4. 당기증감 : 당기에 발생한 금액
    5. 당월누계 : 당월까지의 누계

1.55. 일반관리비명세서발행

일정시점의 일반관리비 내역을 상세히 나타내는 장부로서 일반관리비명세서를 조회 및 인쇄합니다.

일반관리비명세서발행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인쇄>버튼을 클릭하면 일반관리비명세서가 인쇄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결산년월 : 조회할 결산년월
    3. 전월누계 : 전월까지의 누계
    4. 당기증감 : 당기에 발생한 금액
    5. 당월누계 : 당월까지의 누계

1.56. 재무제표년이월

결산을 완료하고 차기로 (자산, 부채, 자본) 잔액을 이월하는 작업을 수행 합니다.

재무제표년이월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전기이월실행> 버튼을 클릭하면 자산, 부채, 자본계정의 잔액을 차기 기초잔액으로 이월처리를 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장 : 조회할 사업장 선택
    2. 회계연도 : 이월하려는 회계년도
    3. 적용연도 : 이월한 데이터가 반영될 회계년도
    4. 전기이월 : 전월까지의 누계
    5. 당기증가 : 당기에 증가한금액
    6. 당기감소 : 당기에 감소한 금액
    7. 당기잔액 : 당기말 잔액

1.57. 회계기준정보설정

회계관리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기준 정보 및 기초 환경을 설정합니다.

회계기준정보설정

참고

  • 기능설명
    1. 회계기준이 되는 환경 설정을 등록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수량소수점이하 : 세금계산서 및 거래명세서 입력시 수량 소수점이하 표시 방법 설정
    2. 공급가액소수점이하 : 세금계산서 및 거래명세서 입력시 공급가액 소수점 이하 표시방법 설정
    3. 부가세소수점이하 : 세금계산서 및 거래명세서 입력시 부가세 소수점 이하 표시 방법
    4. 단가소수점이하 : 세금계산서 및 거래명세서 입력시 단가 소수점 이하 표시 방법
    5. 경비전자결재여부 : 경비전표 등록시 전자결재 사용 여부 설정
    6. 가지급금전자결재여부 : 가지급금 신청 등록시 전자결재 사용 여부 설정
    7. 사용시작년월 : bizmeka EZ를 사용하기 시작할 년월을 설정 (시작년월 이전월 잔액을 입력하여 기초 잔액 적용 가능)
    8. 사용시작년월확정여부 : 사용시작년월 확정 여부에 체크한 경우 사용시작년월 변경이 불가능하니 신중하게 등록합니다.
    9. 사용시작년월이 확정되어야 회계기초잔액관리 (계정별잔액, 채권채무잔액, 통장별잔액, 기초재고자산)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1.58. 회계메뉴권한설정

사용자에게 회계관리 메뉴권한을 설정하고 조회합니다.

회계메뉴권한설정

참고

  • 기능설명
    1. 권한을 설정 또는 변경할 사용자를 선택하여 <검색> 버튼을 클릭합니다.
    2. 사용자의 메뉴 권한관리 목록이 하단에 조회됩니다.
    3. 읽기, 입력, 수정, 삭제 권한을 체크/체크 해제하여 권한을 부여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적용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용자 검색시 메뉴권한관리 목록은 상품 권한이 부여되어 있어야 조회가 가능합니다.
    2. 상품 권한은 회사관리자가 환경설정 > 상품사용관리 > [상품별이용관리] 메뉴에서 상품카드 선택 후 사용자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3. 일반사용자의 경우에도 필수 메뉴의 경우 읽기, 입력, 쓰기, 수정 권한 변경은 불가합니다.
    4. 관리자 권한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 모든 메뉴에 대한 권한이 부여되므로 메뉴 권한 변경은 불가합니다.
    5. 상단체크박스 클릭시 전체상품에 대한 권한 부여/해제가 되고, 개별상품 권한 부여/해제시 각 상품에 개별체크박스를 체크해서 권한지정을 합니다.

1.59. 회계공통코드조회

회계관리에서 사용하는 공통코드를 조회 및 등록합니다.

회계공통코드조회

참고

  • 기능설명
    1. 검색할 코드정보를 선택한 후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코드가 조회됩니다.
    2. 공통그룹코드 목록에서 시스템여부가 미체크된 코드는 <행추가> 버튼을 이용하여 공통코드를 추가합니다.
    3.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변경내용을 저장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공통코드목록의 사용여부 : 추가한 코드에 대하여 사용 여부를 선택합니다.
    2. 추가한 공통코드는 삭제되지 않으므로 사용하지 않으실 경우 사용여부의 체크를 해제합니다.
    3. 정렬순서 : 추가한 코드의 정렬순서를 지정할 수 있으며, 지정된 정렬순서에 따라 조회됩니다.

1.60. 회계계정과목설정

회계관리의 기본이 되는 계정 외에 회사 고유의 계정코드 분류 기준이 있는 경우 등록하며, 계정과목 별로 관리 항목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회계계정과목설정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수익/비용/제조/용역 계정인 경우 <세목추가> 버튼이 활성화되며, 세목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세목 추가시 과목구분, 계정레벨, 차대구분은 필수 입 력항목으로 반드시 입력합니다.
      • 경비 전표에서 사용할 세목을 추가한다면, ‘경비여부’에 체크하여 저장합니다.
      • 일반 전표에서 사용할 세목을 추가한다면, ‘일반전표’ 에 체크하여 저장합니다.
    3. 회계 계정코드 관리항목에 <행추가> 버튼을 클락하여 계정과목별 관리항목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4. 삭제하고자 하는 관리항목을 선택하고 <행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삭제합니다.

    5. 관리항목의 등록 및 수정이 완료되면 <관리항목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계정코드 : 계정과목을 표현하기 위한 코드로 7자리로 구성되며 자동 생성
    2. 계정명 : 계정과목의 명칭
    3. 약어 : 계정과목명의 약칭
    4. 설명 : 계정과목에 대한 용도를 설명
    5. 과목구분 : 계정과목의 구분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 제조, 용역, 기타)
    6. 계정레벨 : 계정과목의 레벨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과목, 세목)
    7. 차대구분 : 계정과목의 차대구분 (차변, 대변)
    8. 잔액관리 : 계정과목의 보조부 이월잔액 표시방법 (자산 : 차변, 부채 / 자본 : 대변)
    9. 거래처관리 : 계정과목의 거래처 관리 여부 (선택입력, 필수입력, 잔액관리)
    10. 사번관리 : 계정과목의 사원번호관리여부 (선택입력, 필수입력, 잔액관리)
    11. 채무구분 : 계정과목의 채권채무관리여부(채권만관리,채무만관리)
    12. 관련번호 : 계정과목의 관련번호 관리여부(계좌번호, 카드번호, 어음번호, 기타번호, 프로젝트번호)
    13. 번호관리 : 계정과목의 번호관리(선택입력, 필수입력)
    14. 프로젝트 : 계정과목의 프로젝트 관리여부(선택입력, 필수입력)
    15. 카드관리 : 계정과목의 신용카드관리여부(미지급카드, 미수금카드)
    16. 부서관리 : 부서관리 여부
    17. 경비여부 : 계정과목이 경비 계정인지 여부
    18. 계좌관리 : 계정과목이 예금 계정인지 여부
    19. 원가관리 : 계정과목이 원가 관리 계정인지 여부
    20. 일반전표 : 계정과목이 일반전표에서 입력이 가능한 계정인지 여부
    21. 사용 : 계정과목이 사용할수 있는 계정인지 여부
    22. 관리항목 : 공통코드 (AC004)
    23. 차대구분 : 관리항목을 관리하는 계정의 차대구분
    24. 관리항목 : 계정과목의 관리항목
    25. 내용 : 계정과목의 관리항목명
    26. 필수구분 : 관리항목 값이 필수입력인지 여부
    27. 형태 : 관리항목 값의 형태(문자,숫자,날짜)
    28. 우선순위 : 관리항목의 표시순서

1.61. 자동분개계정설정

업무별 자동전표의 분개유형을 조회합니다.

자동분개계정설정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자동분개유형 : 경비전표, 매입전표, 매출전표, 지급전표, 수금전표, 가지급신청전표, 가지급정산전표 등
    2. 차변항목 : 차변에 발생되는 계정코드
    3. 차변구분 : 차변에 발생되는 구분
    4. 차변적요 : 차변에 발생되는 적요
    5. 대변항목 : 대변에 발생되는 계정코드
    6. 대변구분 : 대변에 발생되는 구분
    7. 대변적요 : 대변에 발생되는 적요

1.62. 재무제표양식설정

재무제표 표현 양식을 등록하여 관리합니다.

재무제표양식설정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조건을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가 조회됩니다.
    2. <신규> 버튼을 클릭하고 보고서종류, 제목, 표시위치, 적용시작일, 적용종료일 등은 필수 입력항목으로 반드시 입력합니다.
    3. 자료를 수정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자료가 저장됩니다.
    4. <삭제> 버튼을 클릭하면 선택된 자료가 삭제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보고서종류 :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합계잔액시산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제조원가명세서
    2. 보고서순번 : 보고서의 일련번호로 재무제표 조회 순서
    3. 제목 : 재무제표양식의 제목명
    4. (+)증가수식 : 재무제표 계정과목의 증가수식 표기
    5. (-)감소수식 : 재무제표 계정과목의 감소수식
    6. 합산금액포함 : 합계잔액시산표의 합계 구하는 구분
    7. 표시위치 : 재무제표 금액을 표시하는 위치 (합계성 금액은 오른쪽표시)
    8. 사용여부 : 재무제표의 항목의 사용여부
    9. 적용시작일 : 재무제표의 적용시작일
    10. 적용종료일 : 재무제표의 적용종료일

1.63. 사업장정보조회/설정

사업장 정보를 조회하고 수정합니다.

사업장정보조회/설정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할 사업장을 선택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사업장 정보가 조회됩니다.
    2. 사업장 상세내용을 수정한 뒤, <수정> 버튼을 클릭하여 자료를 저장합니다.
    3. <업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회사의 로고를 등록할 수 있으며, 등록하신 로고는 [증명서발급] 메뉴에서 증명서 인쇄시 적용됩니다.
    4. <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회사 로고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5. 전자세금계산서 전송시 필수항목이고, 증명서 발급시 반영되는 회사 전화번호를 반드시 등록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사업자등록번호 : 로그인시 등록한 사업자등록번호가 자동 반영
    2. 법인등록번호 : 사업장의 법인등록번호를 등록
    3. 회사명 : 로그인시 등록한 사업장의 명칭이 자동반영
    4. 회사명 (영문) : 사업장의 영문 명칭을 등록 (증명서 영문 발급시 사용)
    5. 대표자명 : 환경설정 > [회사정보] 메뉴 등록된 사업장의 대표자명 자동 반영
    6. 대표자명(영문) : 사업장의 대표자의 영문명 등록 (증명서 영문 발급시 사용)
    7. 대표자주민번호 : 사업장의 대표자주민번호 등록
    8. 업태 : 환경설정 > [회사정보] 메뉴에 등록된 사업장의 업태 자동 반영
    9. 종목 : 환경설정 > [회사정보] 메뉴에 등록된 사업장의 종목 자동 반영
    10. 업종 : 사업장의 업종코드 등록 (부가세 신고시 필수 항목)
    11. 법인구분 : 사업장의 법인 구분(개인, 법인)
    12. 개업일 : 사업장의 개업한 일자 등록
    13. 폐업일자 : 사업장이 폐업한 경우 폐업일자 등록
    14. 종사업장번호 : 환경설정 > [회사정보] 메뉴에 등록된 사업장의 종사업장번호이 자동 반영
    15. 담당자명, 담당자연락처, 담당부서, 담당자이메일 : 환경설정 > [회사정보] 메뉴에 등록된 사업장의 담당자 정보 자동 반영
    16. 주소 : 환경설정 > [회사정보] 메뉴에 등록된 사업장의 주소 자동 반영
    17. 영문 주소: 사업장의 영문 주소 등록 (증명서 영문 발급시 사용)
    18. 전자세금계산서메일 : 사업장의 전자세금계산서 이메일 등록
    19. 전자메일 : 사업장의 전자메일 등록
    20. 전화번호 : 사업장의 전화번호 등록
    21. 세무대리인성명 : 사업장의 세무대리인 성명 등록
    22. 총괄사업장번호 : 사업장의 총괄사업장번호 등록
    23. 업종분류 : 사업장의 업종 분류 등록
    24. 휴대전화 : 사업장의 대표 휴대전화 등록
    25. 세무대리인관리번호 : 사업장의 세무대리인 관리번호 등록
    26. 총괄사업장구분 : 사업장의 총괄사업장구분 등록
    27. 납세자구분 : 사업장의 납세자구분 (법인, 개인(일반), 개인(간이))
    28. 납세자ID : 사업장의 납세자 번호 등록
    29. 세무대리인사업자번호 : 사업장의 세무대리인사업자번호 등록
    30. 환급은행코드 : 사업장의 환급은행코드 등록
    31. 과세자구분 : 사업장의 과세자구분 등록
    32. 홈텍스ID : 사업장의 홈텍스ID 등록 (부가세 신고시 필수 항목)
    33. 세무대리인연락처 : 사업장의 세무대리인 연락처 등록
    34. 환급금은행지점 : 사업장의 환급금은행지점 등록
    35. 세무서 : 사업장의 세무서 등록 (부가세 신고시 필수 항목)
    36. 원천세구분 : 사업장의 원천세구분 등록 (원천세 신고시 필수 항목)
    37. 환급금계좌번호 : 사업장의 환급금계좌번호 등록
    38. 기업여부 : 사업장의 기업여부 (중소기업, 비중소기업)
    39. 기업종류 : 사업장의 기업종류 (중소기업, 일반, 상장, 비상장,공공, 비영리, 협회등록)
    40. 직인 : 환경설정 > [회사정보] 메뉴에 등록된 직인 자동 반영

1.64. 거래처정보조회/설정

거래처 정보를 조회하고 신규 거래처를 등록합니다.

거래처정보조회/설정

참고

  • 기능설명
    1. 조회할 거래처를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조건에 해당하는 거래처가 조회됩니다.
    2. 신규 거래처를 등록하려면 <신규> 버튼을 클릭하여 거래처 등록 팝업 창에서 데이터를 입력합니다.
    3. 기존에 입력되어 있던 거래처 정보를 수정하려면 <수정> 버튼을 클릭하여 거래처 수정 팝업창에서 데이터를 수정합니다.
    4. 거래처 신규 등록 및 수정이 완료되면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등록된 거래처는 거래처 상품과 연동됩니다.
    5. <상세등록> 버튼을 클릭하면 거래처 관리 상세정보 입력이 가능합니다. (방문주소, 홈페이지, 메모, 임직원)
    6. <닫기> 버튼을 클릭하면 등록 팝업 창이 종료되고 거래처 리스트 조회화면으로 이동합니다.
    7. <엑셀다운로드> 버튼으로 거래처 리스트를 엑셀로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회사명 : 거래처의 회사명
    2. 구분 : 거래처의 구분 (법인, 개인, 외국인)
    3. 세금계산서발행구분 : 거래처의 세금계산서발행구분 (건별, 일괄)
    4. 담당자 : 거래처의 담당자
    5. 담당자이메일 : 거래처의 담당자 이메일
    6. 담당자전화 : 거래처의 담당자 전화
    7. 담당자휴대전화 : 거래처의 담당자 휴대전화
    8. 거래처그룹 : 거래처의 거래처그룹 (매출, 매입, 기타)
    9. 거래처 정보 삭제는 거래처 상품에서 삭제합니다. 거래처 > [전체] 메뉴에서 <삭제> 버튼으로 거래처 삭제가 가능하지만, 사용여부만 ‘부’로 변경되어 거래처 도움창에서 제외되며 원천적으로 DELETE는 되지 않습니다. (삭제된 거래처는 복구되지 않으니 유의바랍니다.)
    10. 거래처 정보 업로드는 거래처 상품 하단의 <Import> 버튼으로 업로드 가능합니다.
    11. 매출세금계산서 일괄 생성 하는 경우에는 사용되는 필수 항목을 모두 등록합니다. (회사명, 사업자등록번호, 대표자명, 업태, 종목, 전자세금계산서메일, 사업장 전화번호, 담당자명)
    12. 자동증빙 상품을 이용하여 매입/매출 세금계산서를 불러오고자 하는 경우 거래하는 거래처 정보를 사전에 등록하여야 합니다.

1.65. 회계계정별잔액관리

회계관리를 처음에 사용하기 위해 대차대조표 계정의 기초 잔액을 등록합니다.

회계계정별잔액관리

참고

  • 기능설명
    1. 사업장을 선택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합니다.
    2. 이월년월은 [회계기준정보설정] 메뉴에서 시작년월 확정시 반영되며, 시작년월의 전월로 자동 설정됩니다.
    3. 기초 잔액이 존재하는 계정의 전월차/대변금액, 전기잔액을 입력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저장합니다.
    4. <검색> 버튼을 클릭한 뒤 계정이 조회되면 <엑셀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업로드 양식을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5. 엑셀다운로드로 생성한 양식폼에 *표기의 필수 계정별 잔액을 입력하고 <엑셀업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데이터를 업로드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계정코드 : 잔액관리를 하는 계정코드
    2. 전월잔액 : 회계관리를 년도 중간에 사용할 경우 이전월에 결산한 잔액으로 전월차변금액 - 전월대변금액이 자동 계산되어 표기
    3. 전월차변금액 : 회계관리를 년도 중간부터 사용할 경우 이전월까지 발생한 차변 잔액을 입력
    4. 전월대변금액 : 회계관리를 년도 중간부터 사용할 경우 이전월까지 발생한 대변 잔액을 입력
    5. 전기잔액 : 전년도 12월 말 결산 잔액을 입력
    6. 전기차변금액 : 전년도에 결산한 잔액으로 자동 계산되어 표기
    7. 전기대변금액 : 전년도에 결산한 잔액으로 자동 계산되어 표기
    8.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면, [회계기초잔액이월처리] 메뉴에서 작업구분 ‘회계계정별잔액’을 선택하여 <기초잔액적용>버튼으로 적용해야 장부에 반영됩니다.
    9. 엑셀업로드시 *표기의 금액란은 빈칸이나 문자가 아닌 숫자(값이 없을시 0)을 입력해야 합니다.
  • 자료입력 예시
    1. 사용시작년월 2016/06월로 입력하여 확정한 경우, 이월년월은 2016/05로 자동 설정
    2. [회계계정별잔액관리] 메뉴의 전월차변금액, 전월대변금액은 2016/01~2016/05월 말까지 발생한 잔액을 등록
    3. [회계계정별잔액관리] 메뉴의 전기잔액은 ~2015/12월 말 잔액을 입력
  • 자료흐름
    1. 회계계정별잔액관리 -> 회계기초잔액이월처리 -> 재무제표

1.66. 채권/채무잔액관리

회계관리를 처음에 사용하기 위해 매입,매출잔액관리를 하는 경우 거래처별 잔액을 등록, 관리합니다.

채권/채무잔액관리

참고

  • 기능설명

    1. 사업장을 선택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월년월은 [회계기준정보설정] 메뉴에서 시작년월 확정시, 시작년월 전월로 자동 반영됩니다.

    2. 채권/채무 잔액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거래처가 먼저 등록되어야 합니다. 거래처 자동 업데이트/일괄 등록 활용팁을 참고하여 거래처를 등록합니다.

      • 홈텍스 인증정보를 등록한 뒤, 거래처 상품에서 <거래처업데이트> 버튼으로 매입, 매출거래처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 거래처 상품에서 엑셀 IMPORT 를 통해 거래처를 일괄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3. 거래처 등록이 완료되면 상단의 계정코드를 선택한 뒤 <행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거래처, 계정 및 전월차/대변 금액, 전기잔액을 입력합니다.

    4. <행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등록되어 있는 거래처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5. <행추가> 또는 <행삭제> 버튼으로 데이터를 입력 또는 삭제한 뒤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저장합니다.

    6. <엑셀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채권채무잔액 업로드 양식을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7. 엑셀다운로드로 생성한 양식폼에 *표기의 필수 채권/채무 잔액을 입력하고 <엑셀업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데이터를 업로드합니다.

    8. 특정 거래처만 기초 잔액 적용하고자 할 경우, 반영하고자 하는 거래처만 체크하여 <기초잔액적용> 합니다.

    9. 특정 거래처만 기초잔액 취소 하고자 할 경우, 반영 취소하고자 하는 거래처만 체크하여 <기초잔액적용취소> 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계정코드 : 잔액 관리를 하는 계정코드
    2. 거래처코드 : 잔액 관리를 하는 거래처코드
    3. 전월잔액 : 회계관리를 년도 중간에 사용할 경우 이전월까지 발생한 잔액으로 전월차변금액 - 전월대변금액이 자동 계산되어 표기
    4. 전월차변금액 : 회계관리를 년도 중간부터 사용할 경우 이전월까지 발생한 차변 잔액을 입력
    5. 전월대변금액 : 회계관리를 년도 중간부터 사용할 경우 이전월까지 발생한 대변 잔액을 입력
    6. 전기잔액 : 전년도 12월 말 결산 잔액을 입력
    7. 전기차변금액 : 전년도에 결산한 잔액으로 자동 계산되어 표기
    8. 전기대변금액 : 전년도에 결산한 잔액으로 자동 계산되어 표기
    9. 엑셀업로드시 *표기의 금액란은 빈칸이나 문자가 아닌 숫자(값이 없을시 0)을 입력해야 합니다.
    10. 채권/채무잔액 등록하기 전에 [거래처정보조회/설정]메뉴 또는 ‘거래처’상품에서 거래처가 등록되어 있어야 합니다.
  • 자료입력 예시

    1. 사용시작년월 2016/06월로 입력하여 확정한 경우, 이월년월은 2016/05로 자동 설정
    2. [채권채무잔액관리] 메뉴의 전월차변금액, 전월대변금액은 2016/01~2016/05월 말까지 발생한 잔액을 등록
    3. [채권채무잔액관리] 메뉴의 전기잔액은 ~2015/12월 말 잔액을 입력
  • 자료흐름

    1. 채권잔액관리 -> 회계기초잔액이월처리 -> 채권수금등록 -> 채권잔액명세서발행 -> 재무제표
    2. 채무잔액관리 -> 회계기초잔액이월처리 -> 채무지급등록 -> 채무잔액명세서발행 -> 재무제표

1.67. 통장별잔액관리

회계관리를 처음에 사용하기 위해 통장별 잔액을 등록, 관리합니다.

통장별잔액관리

참고

  • 기능설명
    1. 사업장을 선택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월년월은 [회계기준정보설정] 메뉴에서 시작년월 확정시, 시작년월 전월로 자동 반영됩니다.
    2. 통장별 잔액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계좌가 먼저 등록되어야 합니다. <계좌등록 바로가기> 버튼으로 [(법인)계좌등록/관리] 메뉴로 이동한 뒤 계좌 정보를 입력합니다.
    3. 계좌 등록이 완료되면, [통장별잔액관리] 메뉴에 등록하신 계좌가 조회되며, 계좌별로 전월차/대변금액, 전기잔액을 입력하여 <저장> 합니다.
    4. <엑셀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통장별잔액 업로드 양식을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5. 엑셀다운로드로 생성한 양식폼에 *표기의 필수 채권/채무 잔액을 입력하고 <엑셀업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데이터를 업로드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계좌코드 : 보유하고 있는 계좌코드
    2. 계좌명 : 보유하고 있는 계좌명
    3. 계정코드 : 잔액 관리하는 계정코드
    4. 계정명 : 잔액 관리하는 계정명
    5. 전월잔액 : 회계관리를 년도 중간에 사용할 경우 이전월까지 발생한 잔액으로 전월차변금액 - 전월대변금액이 자동 계산되어 표기
    6. 전월차변금액 : 회계관리를 년도 중간부터 사용할 경우 이전월까지 발생한 차변 잔액을 입력
    7. 전월대변금액 : 회계관리를 년도 중간부터 사용할 경우 이전월까지 발생한 대변 잔액을 입력
    8. 전기잔액 : 전년도 12월 말 결산 잔액을 입력
    9. 전기차변금액 : 전년도에 결산한 잔액으로 자동 계산되어 표기
    10. 전기대변금액 : 전년도에 결산한 잔액으로 자동 계산되어 표기
    11. 엑셀업로드시 *표기의 금액란은 빈칸이나 문자가 아닌 숫자(값이 없을시 0)을 입력해야 합니다.
    12. 통장별잔액을 등록하기 전에 [(법인)계좌등록/관리]메뉴에서 계좌정보가 등록되어 있어야 합니다.
    13.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면, [회계기초잔액이월처리] 메뉴에서 작업구분 ‘회계계정별잔액’을 선택하여 <기초잔액적용>버튼으로 적용해야 장부에 반영됩니다.
  • 자료흐름
    1. 통장별잔액관리 -> 회계기초잔액이월처리 -> 계좌별보조부조회

1.68. 회계기초잔액이월처리

계정별잔액, 채권채무잔액, 통장별잔액을 기초잔액으로 확정합니다.

회계기초잔액이월처리

참고

  • 기능설명
    1. 사업장을 선택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월년월은 [회계기준정보설정] 메뉴에서 시작년월 확정시, 시작년월 전월로 자동 반영됩니다.
    2. 작업 구분별로 데이터를 조회하여 <기초잔액적용> 버튼을 클릭하면 기초 잔액이 반영됩니다.
    3. 작업 구분별로 데이터를 조회하여 <기초잔액적용취소> 버튼을 클릭하면 반영된 기초 잔액이 취소됩니다.
  • 주요항목 설명
    1. 작업구분 : 기초 잔액적용/취소하고자 하는 작업 (회계계정별잔액, 채권채무잔액, 통장별잔액)
    2. 자료구분 : 자료가 생성된 위치 (회계계정별잔액, 채권채무잔액, 통장별잔액)
    3. 자료코드 : 채권채무인 경우 거래처코드, 통장인경우 계좌번호
    4. 계정코드 : 잔액관리를 하는 계정코드
    5. 전월차변금액 : 회계관리를 년도 중간부터 사용할 경우 이전월까지 발생한 차변 잔액
    6. 전월대변금액 : 회계관리를 년도 중간부터 사용할 경우 이전월까지 발생한 대변 잔액
    7. 전기잔액 : 전년도 12월 말 결산 잔액
    8. 전기차변금액 : 전년도 12월 말 결산 잔액
    9. 전기대변금액 : 전년도 12월 말 결산 잔액
    10. <엑셀다운로드> 버튼을 이용하여 이월처리할 회계기초잔액을 엑셀로 다운로드 합니다.
  • 자료흐름
    1. 재무제표 -> 잔액명세서